- 등록일2021-01-21
- 조회수2365
벌츄얼 뮤지엄 원더카트는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시품을 흥미로운 방식으로 소개하는
영어 전시 감상 프로그램입니다.
The Virtual Museum Wonder Cart introduces the artifacts of National Museum of Korea in a fun and interesting way.(English Program)
▶Ⓐ: Hello! Welcome to the Virtual Museum Wonder Cart! Choi, do you know that today is the last Virtual Museum Wonder Cart of 2020?
▷Ⓑ: Time flies really fast. What are we going to watch today? You don’t say... Kim Hong-do’s paintings again.
▶Ⓐ: Haha. You bet. A new exhibition <After Every Winter Comes Spring> opened on November 24th. Today we will look at two paintings in Joseon period from the exhibition in relation to Kim Hong-do’s genre paintings.
▷Ⓑ: Two paintings in Joseon period. I’m a fan of late Joseon paintings. I can’t wait to see the new paintings.
▶Ⓐ: ①Let’s get started!
▷Ⓑ: Wow! It’s my favorite Kim Hong-do’s painting.
▶Ⓐ: ①Choi, who is Kim Hong-do?
▷Ⓑ: Kim Hong-do was a court painter in 18th century Joseon.
▶Ⓐ: How can we know he was a court painter?
▷Ⓑ: He painted portraits of Joseon kings like Yeongjo and Jeongjo.
▶Ⓐ: Oh, I see. ②Here is a pop quiz. What is a genre painting?
▷Ⓑ: A Genre painting is a painting that depicts everyday life of ordinary people in streets, markets, and exam sites.
▶Ⓐ: Right. ③Here are <Korean Traditional Wrestling>, <A Blacksmith’s Workshop>, and <A Dancing Boy.> As the background is omitted, you can focus on the characters.
▷Ⓑ: Yes. As you mentioned, it delivers the scene quite realistically.
▶Ⓐ: Choi, you are very observant. In his ④Encyclopedia on Rural Living, Seo Yu-gu said “Once women and children saw Kim Hong-do’s genre paintings, they laughed so hard that their jaws almost fell off. He was indeed one of a kind in all ages.” Kim Hong-do even expressed emotions in everyday life.
▷Ⓑ: Oh. We can experience vivid Joseon life through his genre paintings.
▶Ⓐ: Today, we will meet other types of paintings in addition to the genre paintings. ⑤Here we go!
▷Ⓑ: Is it also a small size painting? What is this?
▶Ⓐ: This is a huge painting. It comprises three pictures and the total width is almost six meters.
▷Ⓑ: Wow! It’s quite a big painting. What does it depict?
▶Ⓐ: It depicts welcoming banquet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province in Joseon.
▷Ⓑ: They seem like pretty huge banquets. Who was the governor of Pyeongan province? How come could they give such a magnificent banquet?
▶Ⓐ: The governor ruled the whole Pyeongan province. ⑥Here is a map. Can you find Pyeong-an province?
▷Ⓑ: Hmm. Peyong-an province. Is it in North Korea?
▶Ⓐ: ⑦Right. It is right here.
▷Ⓑ: The governor of Pyeong-an province must have been very powerful to throw such huge welcoming banquets.
▶Ⓐ: Right. the governor of Pyeong-an was most powerful among the governors in Joseon.
▷Ⓑ: Why?
▶Ⓐ: Pyeong-an province bordered China, as you see in this map. It was an important place for the military defense. And they could accumulate wealth through trade.
▷Ⓑ: That’s why this picture is really enormous. Then were the banquets held on a single day?
▶Ⓐ: No, it weren’t. The painting documents various events that took place over multiple days.
▷Ⓑ: Oh I see. Then, ⑧if we look at the picture carefully, we can understand how the festival proceeded at that time.
▶Ⓐ: Furthermore, we can see how they lived, as they drew people in details.
▷Ⓑ: Wow. It is similar to genre paintings.
▶Ⓐ: Right! Let’s check its similarities with Kim Hong-do’s genre paintings.
▶Ⓐ: ①This is the first picture, <Banquet at Yeongwangjeong Pavilion.>
▷Ⓑ: There are lots of people!
▶Ⓐ: Yes. There are four hundred thirty-four people. Where do you think the governor is?
▷Ⓑ: ②He may be enjoying the banquet in the big pavilion. Isn’t the sitting man in blue the governor?
▶Ⓐ: Right. He is enjoying the music and dance.
▷Ⓑ: By the way, what are the blue and yellow animals near the entrance of the pavilion? Are they lions?
▶Ⓐ: Not the real lions. They are lion masks.
▷Ⓑ: ①Lion masks? What are they doing putting on the lion masks?
▶Ⓐ: They are dancing a lion dance wearing the lion masks. A lion dance is a very active dance.
▷Ⓑ: An animal mask dancing is pretty interesting. We can also see ②lots of people who gathered on the street.
▶Ⓐ: Although they are not invited to the banquets, they are portrayed in detail. Here in this house, what is he doing?
▷Ⓑ: ①You mean this man here? The man who is cutting something?
▶Ⓐ: Yes. What is he cutting?
▷Ⓑ: I cannot see it clearly, because it is very small.
▶Ⓐ: ④Choi, you can recognize it if you see Kim Hong-do’s painting.
▷Ⓑ: Is it food? He seems to cut lump of something into bite-size things.
▶Ⓐ: He is cutting tobacco leaves.
▷Ⓑ: Oh, I see. Then, is he cutting tobacco leaves, too?
▶Ⓐ: ②Right. It is a tobacco shop on the street market. They put the chopped tobacco leaves in a smoking pipe, and smoked. It’s pretty similar to the western pipes.
▷Ⓑ: It shows how they made tobacco in Joseon period. Here, many gather around the well, too.
▶Ⓐ: Among the many people, can you recognize him?
▷Ⓑ: Hmm. he is holding a rectangular box, but I cannot see it clearly. It’s too small.
▶Ⓐ: ①So I brought this picture. It’s Kim Hong-do’s <Korean Traditional Wrestling>. Can you find similar person here?
▷Ⓑ: Here he is! He is holding a rectangular box.
▶Ⓐ: Excellent. What does it look like?
▷Ⓑ: There is something in the box. Is he selling something?
▶Ⓐ: ②Yes. He is a Korean taffy vendor. He is selling snacks to the bystanders.
▷Ⓑ: You’re right! The more I look at the picture, the more interesting things pop out.
▶Ⓐ: That’s the characteristic of genre paintings. As it depicts the everyday life, we can discover ordinary people participating in diverse activities.
▶Ⓐ: Then ①let’s look at the other picture, <Banquet at Bubyeongnu Pavilion>. Can you spot differences from the previous picture?
▷Ⓑ: People gather around a hill. I can see much more people here.
▶Ⓐ: ②Here in this picture, dancers seem to dance at the same time. However, in reality, they danced at different times.
▷Ⓑ: Really? How can you know that? ③These people are doing freestyle dance.
▶Ⓐ: Haha. Choi, you’re so funny. That’s the characteristics of documentary court paintings.
▷Ⓑ: ④Documentary court paintings? We were looking at the genre paintings. All of a sudden, documentary court paintings?
▶Ⓐ: Documentary court paintings are another type of painting in Joseon. They record memorable events.
▷Ⓑ: Then were the welcoming banquet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really held?
▶Ⓐ: Choi, we are observing the real welcoming banquets for the new governor through the documentary paintings.
▷Ⓑ: Wow, it’s unbelievable that they threw such a magnificent banquet in 18th century Joseon.
▶Ⓐ: Come on! Let’s go back to the picture. ⑤Here, who is he?
▷Ⓑ: He is the governor. He is sitting quite comfortably.
▶Ⓐ: Haha. What is he looking at?
▷Ⓑ: Hmm. He is probably looking at the people right down there.
▶Ⓐ: Haha. ⑥Perhaps he watched the whole performance. Can you imagine the music?
▷Ⓑ: Well, I can’t imagine the music, as I can’t see the musical instruments. I might lack the imagination.
▶Ⓐ: I will help you out. Let’s look at this ①Kim Hong-do painting. Now! Can you recognize the musical instruments?
▷Ⓑ: Now, I can clearly recognize them. From the upper left, they are a drum, a double-headed drum called jangu, two pipes, a bamboo flute called daegeum, and a string instrument called haegeum.
▶Ⓐ: The title of this painting is <A Dancing Boy>. It depicts a dancing boy and musicians.
▷Ⓑ: Wow! He is dancing cheerfully.
▶Ⓐ: ②Choi, now can you imagine the music played in the pavilion?
▷Ⓑ:Ah. ③Korean classical music might flow in the pavilion.
▶Ⓐ: Joseon people uplifted the atmosphere of the banquet using musical instruments and dances.
▷Ⓑ: It is amazing that we can discover same musical instruments in two different paintings.
▶Ⓐ: That is because documentary court paintings also depict diverse scenes of everyday life like genre paintings.
▷Ⓑ: Oh, I see. I’m really curious about these people in this picture.
▶Ⓐ: ④Where are they?
▷Ⓑ: Here, in this hill behind the pavilion.
▶Ⓐ: ⑤Let’s look at the hill.
▷Ⓑ: There are so many people here. These children even climbed the rock to watch the banquet. And they are so excited about the feast.
▶Ⓐ: Joseon people didn’t want to miss the big event. Now let’s move on to the next painting.
▶Ⓐ: ①The last painting is ‘Boating on a Moonlit Night.’
▷Ⓑ: Boating on a moonlit night. It’s so romantic. We can see a lot of ships in the river.
▶Ⓐ: This is the highlight of the welcome banquets. We can see the governor in the boat parade and many viewers who gathered to see the parade along the riverside.
▷Ⓑ: It’s really splendid. By the way, what are those red stuff?
▶Ⓐ: The title is the hint.
▷Ⓑ: <Boating on a Moonlit Night>, then it is related to the night. Ah. they are torchlights.
▶Ⓐ: Right. They hold torchlights to welcome the newly appointed governor.
▷Ⓑ: The governor is sitting in the biggest boat! He looks serious.
▶Ⓐ: Do you know what is this man doing?
▷Ⓑ: He seems to be holding a white flag.
▶Ⓐ: That is a powder keg. If you look at closely, he is lighting the fire here. He is giving a cue to the linkmen on the rampart.
▷Ⓑ: The painting described minute details around the boat parade. ③Then who painted this?
▶Ⓐ:Painters who are affiliated to the royal family.
▷Ⓑ: Ah! Royal court painters like Kim Hong-do?
▶Ⓐ: Right. Professional painters, who belonged to Painting Bureau, documented the period. You know what. There was yet another painting in Joseon period. Have you ever heard about literati paintings?
▷Ⓑ: ①Literati paintings? How is it different from the other paintings?
▶Ⓐ: Literati painted them. Literati paintings are little different from the paintings Kim Hong-do drew. Literati considered the lines in paintings and calligraphy are same. So they were both calligraphers and painters.
▷Ⓑ: I still can’t understand. If I looked at the literati paintings, I could understand better.
▶Ⓐ: Choi, Have you ever heard about Kim Jeong-hui?
▷Ⓑ: He is a famous calligrapher.
▶Ⓐ: Right. You may ②recall his calligraphy like this. But he drew ③landscape paintings, too.
▷Ⓑ: Wow, nice. That’s not Kim Jeong-hui I knew. Who was he?
▶Ⓐ: He was outstanding in writing poems and articles. He was interested in various fields like paintings, seals, and epigraphy. He was in a very high position in the royal court. He was also in the center of art and scholarship.
▷Ⓑ: He is truly remarkable!
▶Ⓐ: Choi, if you see the painting <Wintry Days>, you will consider him much greater.
▷Ⓑ: <Wintry Days>? I’m really curious about the painting.
▶Ⓐ: ①Ta-da! If you unscroll this handscoll, you can meet a wonderful painting. It’s my favorite painting.
▷Ⓑ: Wow, this painting is different from the paintings we have looked at. The atmosphere is totally different. The bare branches and the house are impressive.
▶Ⓐ: Choi, let’s find out why you felt like that.
▷Ⓑ: Great.
▶Ⓐ: In 19th century Joseon, the ruling power changed and Kim Jeong-hui was sent into exile.
▷Ⓑ: Exile. What is that?
▶Ⓐ: It is sending criminals from his residence to remote rural areas or islands.
▷Ⓑ: Oh, I see. Where was he sent to?
▶Ⓐ: ②I will show you a map. Here is Seoul where Kim lived. He was sent to this far remote island. It is currently Jeju Island.
▷Ⓑ: Oh my god! He was exiled to really far away. It must have been very hard. In that difficult circumstance, he drew this painting.
▶Ⓐ: Right. In Jeju Island, it is very windy in winter. He was fenced in the remote island, far from the continent. Letters were the only method to stay connected with his friends and family.
▷Ⓑ: After hearing that, it feels much colder and more lonely.
▶Ⓐ: ①In this part of <Wintry Days>, you can find the title, painter’s name, and the reason why he drew it.
▷Ⓑ: Wow. Kim Jeong-hui must be very detail-oriented. He wrote down all the information about the painting.
▶Ⓐ: Here, on the left side of the painting, you can find the reason.
▷Ⓑ: Oh, it’s not Korean. What did he say?
▶Ⓐ: Kim had many disciples. He drew this painting for one of his disciples, Yi Sang-jeok.
▷Ⓑ: Did Kim cherish Yi?
▶Ⓐ: Yi helped Kim in exile. Yi even sent rare books to Kim in Jeju Island.
▷Ⓑ: Ah. Kim gave the painting as a gift. The calligraphy has warm appreciation of Yi’s care and loyalty. However, the trees and the house look dry and tough.
Ⓐ: This is the ①tool he used to express the toughness.
▷Ⓑ: Wow. he painted with this brush! Isn’t it for calligraphy?
▶Ⓐ: In Joseon, they used this brush both for calligraphy and paintings.
▷Ⓑ: Ah! You said literati painters!
▶Ⓐ: Right. What are four must-have tools for calligraphy and paintings?
▷Ⓑ: Paper, a brush, ink... What is the other thing?
▶Ⓐ: To make ink, you need two things; an ink stick and the ink stone. So ta-da! The four friends of paintings! Paper, a brush, an ink stick and the ink stone!
▷Ⓑ: Aha! But the paper he used for this painting looks different the paper we use now.
▶Ⓐ: He used Korean traditional paper hanji.
▷Ⓑ: This thin paper looks sturdy. Do they use only paper for paintings in 19th century?
▶Ⓐ: Let’s look at this portrait of Joseon. It was painted on silk.
▲Choi: It’s interesting that they use very expensive silk for the painting. What about western paintings?
▶Ⓐ: This is Goya’s ‘May 3rd 1808.’ This is an oil painting. He used a canvas for this painting.
▷Ⓑ: Goya and Kim painted in similar times, but they used quite different tools.
▶Ⓐ: Let’s look at the brushes. They made brushes using a wooden stick and animal hair. Here is a quiz. I will show you four animals. Can you guess whose hair they used to make brushes?
▷Ⓑ: Well. How about the cow’s hair? It must have been common in Joseon villages.
▶Ⓐ: The answer is all four! The brush was made of diverse animals’ hair. The weasel brush of Joseon was even famous in China.
▷Ⓑ: Oh, I see! It’s amazing to draw a painting with animal hair!
▶Ⓐ: Next, an ink stick and the ink stone. Can you guess how they work?
▷Ⓑ: This ink stick seems like paint, and the ink stone seems like a palette.
▶Ⓐ: Correct. It is difficult to paint using this hard ink stick. So you have to grind the ink stick on the ink stone with water. Then you can get black ink.
▷Ⓑ: It’s amazing how they work! So they painted with this black ink made from grinding ink stick on the ink stone.
▶Ⓐ: Right. They used this ink to write or draw. Kim also used this ink to draw his <Wintry Days>. By the way, do you know how to hold brushes?
▷Ⓑ: Like this? At an angle?
▶Ⓐ: That’s right! But in the East, they hold a brush little differently. Can you guess?
▷Ⓑ: As they spread the paper on the floor, they may hold the brush perpendicular to the paper.
▶Ⓐ: You know well! Joseon people thought calligraphy and paintings as the same. Noblemen must learn them for refinement. They often used paper, a brush, an ink stick, and the ink stone as tools for calligraphy and paintings. That’s why they are named four friends of the noblemen’s study, Munbangsawoo.
▷Ⓑ: Ah. Kim Jeong-hui used these tools for <Wintry Days>.
▶Ⓐ: When you unroll <Wintry Days>, you will be fascinated with the Joseon literati.
▷Ⓑ: That was not the end of the story?
▶Ⓐ: Choi, do you know how long this painting is?
▷Ⓑ: Hmm. Is it 1 meter long?
▶Ⓐ: Its height is 30 centimeters, but the width is almost 15 meters.
▷Ⓑ: Wow, it’s very long! It is divided into four parts.
▶Ⓐ: If you keep unrolling the painting, you can see 16 scholars’ comments on Kim Jeong-hui’s painting and calligraphy.
▷Ⓑ: They must have written long to make a 15-meter handscroll.
▶Ⓐ: Yi Sangjeok brought the painting to Beijing when he went there as a government interpreter. Yi showed this painting to Qing literati scholars in his welcoming party.
▷Ⓑ: It’s awesome! Qing is current China. Yi brought <Wintry Days> to China, and Qing scholars appreciated the painting together.
▶Ⓐ: Right. How about looking at the <Appreciating a Painting>?
▷Ⓑ: They gather in a circle, and watch blank paper.
▶Ⓐ: Actually, that blank paper is a painting. A painting was precious in Joseon period. When scholars got a painting, they gathered and appreciated it together.
▷Ⓑ: Did Yi want to brag about the painting? What happened to the <Wintry Days>, when it went to China?
▶Ⓐ: All Qing scholars who watched Kim’s painting wrote their opinions or feelings in calligraphy. Some even wrote a poem.
▷Ⓑ: It’s like writing comments on the photos and writings posted on an Internet blog.
▶Ⓐ: What do you think Choi would write based on Sehando?
▷Ⓑ: Well. I would have written that ‘The house surrounded by trees looks pretty lonesome. Stay warm through the cold winter!’ Thinking of the review myself, I can better feel Kim Jeong-hui’s emotions.
▶Ⓐ: Qing scholars had similar ideas. Some left comments like you, and others wrote different ideas. Collectors, who owned this painting afterwards, added their reviews in the end.
▷Ⓑ: Lots of people saw the painting and were impressed.
▶Ⓐ: The last parts are appreciation comments 100 years after it was created.
▷Ⓑ: It’s been a long time! Meanwhile, what happened to the painting?
▶Ⓐ: <Wintry Days> went to Japan when Korea was under the control of Japan and came back to Korea later. Koreans, who saw this painting again, wrote the collection history and vanity of life. They also expressed their sentiments on the fidelity of indepence activists and Sojeon, who took back this painting.
▷Ⓑ: It holds so many stories that it could be such an incredible 15 meters. So many people made this painting complete, in addition to Kim Jeong-hui and Yi Sang-jeok.
▶Ⓐ: It looks like a collaboration made in Jeju Island, Beijing and Seoul for 100 years. How about leaving our own comments?
▷Ⓑ: Wow, Young, that sounds wonderful!
▶Ⓐ: Hahaha, Thank you. Today we looked at <Welcoming Banquet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Kim Jeong-hui’s <Wintry Days>, and Kim Hong-do’s genre paintings. How was it?
▷Ⓑ: Through these paintings, I could find the differences among paintings made in Joseon. There were paintings in which I could see everyday life of Joseon. There was a painting where I could feel the sentiments of the painter.
▶Ⓐ: Joseon painters drew various types of paintings. Painters adopted different expression method. Some described the everyday life realistically that viewers feel they are observing them on the spot. Others make us feel the cold and lonesome exile life.
▷Ⓑ: Where can I meet those paintings?
▶Ⓐ: You can see <Welcoming Banquets for the Governor of Pyeong-an> and <Wintry Days> at the Special Exhibition Gallery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t the exhibition <After Every Winter Comes Spring>, you can also watch media artworks related to the paintings.
▷Ⓑ: Media artworks? That sounds like an interesting exhibition.
▶Ⓐ: The media artworks of contemporary artists help you immerse in the paintings.
▷Ⓑ: I agree! I can’t wait to see the exhibition.
▶Ⓐ: And don’t forget that Kim Hongdo’s genre paintings are displayed on the 2nd floor of the Permanent Exhibition Hall.
▶Ⓐ: It’s time to say good bye. Virtual Museum Wonder Cart will visit you online at ①1.30 in the afternoon on January 29th with new activities. Do you want to see the real Museum Wonder Cart?
▷Ⓑ: Yes! When does the Museum Wonder Cart run?
▶Ⓐ: Museum Wonder Cart will be up and running from 1.30 to 3.30 in the afternoon, from Tuesday to Friday every week.
▷Ⓑ: Ok! Come and visit.
▶Ⓐ: Thank you for being with us today! See you again!
▶㉮: 안녕하세요. 버츄얼원더카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Choi 오늘은 2021년 버츄얼원더카트 시작하는 날이네요~
▷㉯: 시간이 빠르게 지나가네요. 오늘은 어떤 그림을 감상하나요? 설마... 김홍도 그림을 또 보여주나요?
▶㉮: 하하하 당연하죠. 저희 9월부터 계속 감상했던 김홍도의 <풍속도첩>과 11월 24일 개막한 <한겨울 지나 봄 오듯-세한,평안>전시와 연계하여 조선시대 동양화에 대해 살펴보려고 합니다.
▷㉯: 조선시대의 동양화라... 제가 조선시대 후기 작품을 좋아하는데 오늘 그림들 기대됩니다.
▶㉮: ①시작합니다~
▷㉯: 와~ 제가 좋아하는 김홍도 그림이네요.
▶㉮: 오~ Choi! 그럼 ①김홍도는 어떤 사람인가요?
▷㉯: 김홍도는 18세기 조선의 궁중화가에요.
▶㉮: 궁중화가라는 것을 어떻게 할 수 있죠?
▷㉯: 영조와 정조의 어진을 그렸어요.
▶㉮: 오~ 맞아요. ②퀴즈하나 줄게요. 풍속화란 무엇일까요?
▷㉯: 길거리, 시장, 시험장 등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표현한 그림이요.
▶㉮: 그래요~ ③여기 그림은 <씨름>과 <대장간>, <무동>입니다.
그림을 자세히 보면 배경을 모두 생략하여 인물의 표정이 더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어요.
▷㉯: 아~ 그렇네요. 그리고 보니 각 장면의 내용이 더 정확하게 전달이 되는 것 같아요.
▶㉮: Choi 그림 관찰력이 아주 좋아요. ④서유구의 임원경제지에서 김홍도를 이렇게 표현하였어요.
“김홍도가 일상 풍속을 그렸는데, 부녀자와 어린 아이도 한번 보면 턱이 빠질 정도로 웃으니 고금의 화가 중에 이만한 이가 없다.”
이렇듯 김홍도는 조선시대의 일상생활로 들어가 그들의 정서까지도 표현한 작가입니다.
▷㉯: 오~ 그림을 통해서 만나보는 조선의 모습이군요! 어떤 내용들이 더 있을지 궁금하네요.
▶㉮: 그런데 오늘 우리가 함께 만날 그림은 풍속화만 있는 것이 아니에요. 풍속화와 함께 ⑤여기 보이는 이 그림들도 볼 겁니다.
▷㉯: 작은 사이즈의 그림인가요? 이 그림은 무엇인가요?
▶㉮: 이 그림은 실제로 진짜 큰 그림입니다. 3개의 작품으로 이어진 이 그림은 길이가 총 6미터나 되니까요.
▷㉯: 와~ 정말 규모가 큰 그림이군요. 어떤 내용이 담겨져 있나요?
▶㉮: 이 그림은 조선 후기 평안감사(Governor of Pyeong-an)의 부임을 축하하기 위해 열린 연회를 그린 그림으로 <평안감사를 환영하는 잔치>라고 해요.
▷㉯: 연회를 이렇게 크게 열었다구요? 평안감사는 어떤 사람이길래 이렇게 화려한 잔치를 열 수 있었나요?
▶㉮: 평안감사는 평안도 지역을 모두 맡아 다스리던 사람이에요.
그렇다면 Choi ⑥여기 지도가 있어요. 혹시 평안도가 어디에 있을까요?
▷㉯: 음... 평안도..혹시 북한에 위치해 있을까요?
▶㉮: ⑦그래요. 평안도는 여기에 위치해 있어요.
▷㉯: 와~ 조선시대의 평안감사들의 힘이 굉장했었네요. 이 정도 규모의 잔치를 열려면 말이죠.
▶㉮: 감사들 중에서도 평안감사는 가장 강한 권력을 가지고 있었어요.
▷㉯: 그럼 왜 평안감사가 그렇게 지위가 높았나요?
▶㉮: 평안도는 여기서 지도에서 보듯이 중국과 경계에 있었어요. 그래서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고 교역을 해서 많은 부를 축적할 수 있었어요.
▷㉯: ⑧<평안감사를 환영하는 잔치> 그림이 진짜 대단한 거였군요. 그러면 이 장면의 잔치가 모두 한 번에 일어난 일인가요?
▶㉮: 그렇지는 않아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행된 여러 행사들이 나타나고 있어요.
▷㉯: 그렇군요. 그럼 그림을 자세히 보면 당시의 축제가 어떤 순서로 진행됐는지 알 수 있겠네요.
▶㉮: 그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깨알같이 그려놓았어요. 그 사람들을 보면서 어떤 생활을 하고 있었는지도 볼 수 있답니다.
▷㉯: 와~ 그런 점에서는 풍속화와도 비슷하네요?
▶㉮: 맞아요! 그럼 어떤 장면들에서 김홍도 풍속도첩과 비슷한 사람들이 있는지 살펴볼까요.
▶㉮: 이 그림은 첫 번째 그림인 ①<연광정에서 열린 잔치>에요.
▷㉯: 사람들이 굉장히 많네요.
▶㉮: 모두 434명이 그려져 있다고 해요. 그럼 여기서 평안감사는 어디 있을까요?
▷㉯: 큰 건물에서 잔치를 즐기고 있을 테니까 ②요기 건물 안에 앉아있는 저 ③파란옷의 남자 아닌가요?
▶㉮: 맞아요. 자리에 앉아서 춤과 연주를 즐기고 있네요.
▷㉯: 그런데 건물 입구에 서 있는 저 ①파랗고 노란 동물은 무엇이죠? 혹시 사자인가요?
▶㉮: 이것은 사자탈이라고 해요.
▷㉯: 탈이요? 탈을 쓰고 무엇을 하는 건가요?
▶㉮: 저 탈들은 사자춤을 출 때 쓰는 탈입니다. 굉장히 역동적인 전통 무용이에요.
▷㉯: 동물모양 탈이라니 재미있네요. ②성문 앞 거리에도 정말 사람이 많이 있네요.
▶㉮: 이곳의 사람들은 축제와 상관이 없는데도 모두 자세히 묘사되어있어요. 여기 집안에 있는 사람은 무엇을 하고 있을까요?
▷㉯: ①여기, 무언가를 썰고 있는 이 사람이요?
▶㉮: 무엇을 썰고 있을까요?
▷㉯: 너무 작아서 잘 안보여요.
▶㉮: ②김홍도의 그림을 보면 더 확실하게 알 수 있꺼에요. Choi~
▷㉯: 음식인가요? 무언가 먹기 좋게 썰고 있는 것 같아요.
▶㉮: 이것은 담배를 써는 모습이에요.
▷㉯: 아~ 그렇군요. 그럼 평안감사향도에서도 담배를 써는 모습인가요?
▶㉮: ③맞아요. 저잣거리에서 담배를 파는 담뱃가게의 모습을 그린 것이에요.
저렇게 썰어둔 담뱃잎을 곰방대에 넣어 불을 붙여 피웠대요. 서양의 파이프와 같아요.
▷㉯: 조선시대에 담배를 어떻게 만들었는지를 잘 보여주네요. ④여기 우물가 근처에도 사람들이 많네요.
▶㉮: 많은 사람들을 지나 여기 보이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 음... 네모난 상자를 들고 있는 것 같아요. 이 그림 역시 작아서 잘 안보이네요. (시무룩)
▶㉮: 그래서 제가 ①이 그림을 준비했습니다. 김홍도의 씨름입니다. 혹시 비슷한 사람을 찾을 수 있을까요?
▷㉯: 여기 있네요! 앞에 무언가를 들고 있는 모습이 똑같아요.
▶㉮: ②잘 찾았어요. 이게 무엇으로 보이나요?
▷㉯: 상자 안에 무언가 들어있는데... 물건을 파는 건가요?
▶㉮: 이 사람은 엿장수에요. 구경꾼들에게 간식을 파는 거죠.
▷㉯: 정말 그렇네요! 그림 속의 상황을 자세히 관찰하니 재밌는 점들이 보여요.
▶㉮: 그게 바로 풍속화의 특징이에요. 일상생활들을 담았기 때문에 사람들의 행동 하나하나를 관찰하는 즐거움이 있답니다.
그럼 이제 다음 그림을 볼까요? 이 그림은 ①<부벽루에서 열린 잔치>에요. 이전 그림과 비교했을 때 어떤 점이 다른 것 같아요.
▷㉯: 언덕에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는 것 같아요. 연회도 그림보다 사람들이 더 많은 것 같아요.
▶㉮: ②자 여기 장면을 보면. 다양한 춤을 동시에 추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 춤들은 모두 순서대로 추고 있어요.
▷㉯: 정말이요? 어떻게 알 수 있죠? 그런데 여기 이 ③사람들은 막춤을 추고 있는 것 같아요.
▶㉮: 하하하 Choi 너무 재미있어요. 어떻게 알 수 있는지 물어봤죠. 이것이 바로 기록화의 특징이에요.
▷㉯: ④기록화요? 우리 풍속화 그림을 보고 있었는데요. 갑자기 기록화요?
▶㉮: 풍속화도 그림의 한 분야처럼 기록화도 그림의 한 분야에요. 기념할 만한 행사들을 기록한 거지요.
▷㉯: 그럼 평안감사향연도가 실제로 있었던 일인가요?
▶㉮: Choi 우리 계속 실제로 평안감사의 부임을 축하하는 잔치를 나타낸 그림들을 보고 있는 거에요.
▷㉯: 와~ 아니 진짜 18세기 조선시대에 이렇게 성대한 잔치를 했었다구요! 대단하네요~
▶㉮: 자! 우리 다시 그림 속으로 빠져보죠. 여기 이 사람이 누구였죠?
▷㉯: 아~ 이 이 사람이 아까 본 평안감사군요. 와~ 세상 편안하게 앉아있네요.
▶㉮: 하하하 감사는 무엇을 보고 있는 것 같아요?
▷㉯: 흠... 아마도 ⑤여기 맨 아래 있는 사람들을 구경하고 있을 것 같아요.
▶㉮: 하하하 아마도 전체적으로 공연을 관람했을 것 같아요.
우리 이제 상상해 보아요. 여기에서는 어떤 음악을 연주했을까요?
▷㉯: 글쎄요... 악기들을 유추할 수가 없어서 음악을 상상할 수 없어요. 저는 상상력이 부족한가봐요. (시무룩)
▶㉮: Choi에게 자신감을 불어넣어 주겠어요. ①김홍도의 그림을 같이 감상하죠.
자! 이제 무슨 악기인지 아시겠어요?
▷㉯: 와~ 이제 한 눈에 알아 볼 수 있네요. 왼쪽 위부터 북, 장고, 피리 둘, 대금, 해금입니다.
▶㉮: 춤을 추는 아이와 악사들을 그린 그림으로 <무동> 이라고 합니다.
▷㉯: 와~ 이 아이의 춤사위가 정말 경쾌해 보여요.
▶㉮: Choi ②이제 <부벽루> 의 음악을 상상해 볼 수 있겠어요?
▷㉯: 아~ ③국악 음악이 흐르고 있겠네요. (음악이 흐른다)
▶㉮: (음악이 계속 흐른다 / 볼륨 다운) 조선시대에는 전통 악기들을 이용해 전통 춤과 함께 음악을 연주하면서 잔치의 흥을 업 시켰습니다.
▷㉯: 와 그런데 너무 신기한 것이 다른 두 그림인데 같은 악기라니...
▶㉮: Choi가 느낀 신기한 감정은 기록화에서도 풍속화처럼 일상의 다양한 모습들을 기록한 그림이기 때문이에요.
▷㉯: 저 부벽루에서 정말 궁금한 사람들이 있어요.
▶㉮: 네. ④어느 장면이 궁금할까요?
▷㉯: 여기 뒷산이 궁금해요.
▶㉮: 자 ⑤우리 함께 뒷산도 구경해 보죠.
▷㉯: 정말 많은 사람들이 보이네요. 여기 이 아이들은 잘 안 보이는지 돌 위로 올라가서 보네요.
그리고 여기 잔치가 너무 즐거웠나 봐요.(술 마시는 장면 가르킨다)숨겨진 장면들이 많이 있군요!
▶㉮: 조선시대의 사람들도 큰 구경거리를 놓치고 싶지 않았던 모양이에요. 그럼 이제 다음 그림을 만나볼 게요.
<평안감사를 환영하는 잔치>의 마지막 그림은 ①<달밤의 뱃놀이>입니다.
▷㉯: 달밤의 뱃놀이.. 너무 낭만적이네요. 정말 물가에 배들이 많네요.
▶㉮: 연회의 하이라이트라고 할 수 있지요. 대동강을 따라서 배를 타고 행차하는 평안감사와 이를 구경하는 많은 사람들을 볼 수 있어요.
▷㉯: 정말 화려하네요. 그런데 여기 강 주변에 빨간 동그라미들이 많이 보이는데요. 무엇인가요?
▶㉮: 힌트는 그림의 제목입니다.
▷㉯: 달밤이니까.. 혹시 밤인가요? 아~ 불이군요.
▶㉮: 맞아요. 평안감사를 환영하면서 횃불을 밝히고 있어요.
▷㉯: ②평안감사는 이번에는 가장 큰 배 안에 타고 있네요! 역시나 근엄한 모습이네요.
▶㉮: 혹시 ③이 사람은 무얼하고 있었을까요?
▷㉯: 하얀 깃발을 들고 있는 것 같아요.
▶㉮: 저건 화약통이에요. 자세히 보면 여기 아주 작게 불을 붙이고 있는 모습이에요. 저기에 불을 붙여서 성벽 위의 홰꾼들에게 신호를 보내는 겁니다.
▷㉯: 너무 깨알같이 그림을 그린 것 같아요. 그런데 이런 깨알 같은 기록화는 누가 그렸나요?
▶㉮: 왕실에 소속된 화원들이 그렸습니다.
▷㉯: 아! 그러면 김홍도와 같은 왕실화가들이 그렸나요?
▶㉮: 왕실화가들은 도화서에 소속된 전문 화가에요.
그리고 더 재미있는 조선시대 그림은 시대를 기록하기 위해 그린 그림만 그렸던 것이 아니에요. ①문인화라는 것도 있어요.
▷㉯: 문인화요? 문인화는 그림이 다른가요?
▶㉮: 문인화는 문인화가들이 그린 그림을 말해요. 김홍도의 그림과는 조금 달라요.
문인들은 글과 그림의 선이 같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글을 쓰는 것과 동시에 그림을 그리는 문인들이 많았어요.
▷㉯: 이해가 안되네요. 문인화를 보면 이해가 더 잘 될 것 같아요.
▶㉮: Choi 혹시 추사 김정희를 들어본적있나요?
▷㉯: 추사 김정희는 서예가 이죠.
▶㉮: 김정희하면 ②이런 서예작품을 많이 생각하겠지만 이런 ③산수화도 그렸습니다.
▷㉯: 와~ 멋있네요. 도대체 내가 알고 있는 김정희는 누구인거야?!
어떤 사람이었나요?
▶㉮: 김정희는 시와 문장에 매우 뛰어났던 조선시대 사람입니다. 여기 보이는 그림들처럼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많았고 왕실에서 굉장히 높은 지위에서 일했다고 해요. 이런 김정희는 당시 조선의 학문과 예술의 중심에 서 있었어요.
▷㉯: 정말 대단한 사람이었네요!
▶㉮: Choi 앞으로 보여드릴 그림을 보게 되면 김정희가 더 대단하고 느낄꺼에요.
▷㉯: 세한도요? 어떤 작품인지 너무 궁금하네요.
▶㉮: 짠~ ①이렇게 돌돌 말린 그림을 펼치면... 멋있는 작품 보게됩니다. 제가 개인적으로도 좋아하는 작품입니다.
▷㉯: 와, 지금까지 본 그림들과는 분위기가 전혀 다른데요? 앙상한 나무 가지와 집이 인상적이에요.
▶㉮: Choi가 그림을 보면서 느낀 이유를 우리 같이 찾아보자~!
▷㉯: 좋아요.
▶㉮: 김정희 살았던 19세기 조선에서는 정권이 바뀌면서 새 집권 세력들이 들어오면서 김정희는 권력 세력들에게 밀려 유배를 가게 됩니다.
▷㉯: 유배요? 유배가 어떤 것이죠?
▶㉮: 유배는 본래 살던 곳이 아닌 먼 시골이나 섬으로 보내는 거죠.
▷㉯: 아~ 그렇군요. 그래서 김정희는 어디로 유배를 가게 되었나요?
▶㉮: ②지도로 보여드릴게요. 여기가 김정희가 살던 지금의 서울이에요. 여기 보이는 섬으로 가는데요. 지금의 제주도입니다.
▷㉯: 세상에, 정말 멀리 쫓겨나게 되네요! 정말 힘들었겠어요. 아~ 그래서 저 어려운 환경에서 그림을 그렸군요.
▶㉮: 맞아요. 겨울의 제주도는 차가운 바람도 많이 불고,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어서 외부와도 단절된 환경이었어요. 가족과 친구들과 만날 방법은 편지뿐이었지요.
▷㉯: 이야기를 듣고 나니 그림에서 무언가 춥고 외로운 느낌이 더 드는 것 같아요.
▶㉮: 세한도 그림을 보면 ①여기 그림의 제목, 작가의 이름, 제작 동기 등이 모두 적혀있어요.
▷㉯: 와~ 김정희는 엄청 꼼꼼한 사람이었나봐요~ 그림에 모든 정보를 빼곡히 적어두다니...
▶㉮: ②여기 그림의 왼쪽에는 그림을 그리게 된 이유가 적혀져 있어요.
▷㉯: 와~ 한글이 아니네요... 뭐라고 적혀져 있나요?
▶㉮: 김정희에게는 많은 제자들이 있었는데요. 그 중 이상적 제자에게 그려준 그림이라고 해요.
▷㉯: 김정희는 유독 이상적을 많이 아껴나봐요.
▶㉮: 이상적은 유배를 간 김정희에게 희귀한 책을 보내주는 등 어려운 상황에 처한 김정희를 계속 도와주었다고 해요.
▷㉯: 아~ 김정희가 고마운 마음에 그림을 주었군요.
그런데 글의 내용은 감사함인데요. 그림은 너무 거칠게 표현된 것 같아요
▶㉮: 저렇게 거칠게 표현된 ① 도구는 바로 이것입니다.
▷㉯: 와~ 이 붓으로 그린 거겠네요! 그런데 이 붓은 글씨 쓸 때 사용하는 것 아닌가요?
▶㉮: 우리나라에서는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이 붓을 사용했습니다.
▷㉯: 아~ 아까 말해준 문인화가!!
▶㉮: 맞아요. 그림을 그리거나 글을 쓸 때 꼭 필요한 4가지 재료는 무엇일까요?
▷㉯: 종이, 붓, 먹물... 나머지 하나는 무엇이죠?
▶㉮: 먹물을 만들려면 두 가지가 필요합니다. 먹과 벼루죠. 그래서 짠~ ②4총사!! 종이, 붓, 먹, 벼루!!
▷㉯: 아하!! 그런데 이 ③그림을 보면 우리가 사용하는 종이와는 달라 보이는데요...
▶㉮: 네 이 그림은 전통 종이인 한지입니다.
▷㉯: 와~ 종이가 이렇게 얇은데 엄청 튼튼한가봐요~ 18세기에는 종이에만 그림을 그렸나요?
▶㉮: ④이 그림을 볼까요? 조선시대 초상화인데요. 이 그림은 비단 위에 그렸습니다.
▷㉯: 비싼 직물인 비단 위에 그림을 그렸다니 너무 신기하네요. 서양의 그림들은 어디에 그려졌죠?
▶㉮: ⑤이 그림은 고야의 <1808년 5월 3일>이라고 하는 유화 작품입니다. 이런 유화들은 주로 캔버스 위에 그려졌습니다.
▷㉯: 지금까지 저희가 본 그림들과 비슷한 시대의 그림들이지만 표현 방식이 참 다르네요!
▶㉮: 붓도 살펴볼까요? 붓은 이렇게 나무로 만든 막대에 다양한 동물의 털을 사용해 만들었어요. ⑥보기로 네 동물을 보여드릴게요. 어떤 동물의 털로 만들었는지 맞춰보실래요?
▷㉯: 음, 소는 어떨까요? 조선시대 마을에는 소가 흔하지 않았을까요?
▶㉮: 정답은 네 마리 모두였습니다! 다양한 동물의 털을 사용해서 붓을 만들었다고 해요.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족제비털 붓은 중국에서도 유명했대요.
▷㉯: 아~ 그렇구나~ 동물의 털로 그림을 그리다니!!
▶㉮: ⑦다음으로 먹과 벼루는 무엇일까요? 이게 어떤 도구인지 아시겠어요?
▷㉯: 이 먹은 물감과 같은 역할을 했을 것 같구요~ 벼루는 팔렛트 역할을 했을 것 같아요~
▶㉮: 맞아요~ 그런데 이렇게 딱딱한 먹으로 그림을 그리기 어려웠을 것 같아요. 그래서 이렇게 먹을 벼루에 갈아서 먹물을 만들어야 합니다.
▷㉯: 먹물을 갈아서 만들다니 신기하네요! 그러면 이렇게 만든 검은 물감으로 그림을 그린 건가요?
▶㉮: 그렇습니다. 먹물은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사용했어요. 김홍도 그림에 쓰인 검은 선도 먹물로 그린 거에요. 여기서 잠깐! 그림 그릴 때 붓을 어떻게 잡는지 아세요?
▷㉯: 이렇게 눕혀서 잡나요?
▶㉮: 맞아요! 그런데 동양에서 붓 잡는 방법은 조금 다르답니다. 어떻게 잡았을까요?
▷㉯: 아마도 바닥에 위에 종이를 두었기 때문에 바닥에서 직각으로 세로로 잡지 않았을 까요?
▶㉮: 잘 아시네요! 조선시대의 사람들은 그림 그리기와 글씨 쓰기는 같다고 생각했습니다. 양반들은 글 쓰는 법과 그림 그리는 법을 모두 교양으로 배우는 것이 당연했어요. 우리가 지금까지 본 문방사우는 글을 쓰는 동시에 그림을 그리는 도구들이었기 때문에 선비들에게 매우 친숙한 도구들이라 하여 문방사우(글, 그림에 필요한 네 가지 벗)이라고 했습니다.
▷㉯: 아~ 세한도를 그럼 이런 도구들을 사용해서 글도 쓰고 그림도 그렸군요.
▶㉮: 조선시대 문인화가들이 더 대단한 것은 이 세한도 그림을 펼쳐보면 알 수 있어요.
▷㉯: 아!! 여기서 끝이 아닌가요?
▶㉮: 선생님, 이 그림이 굉장히 긴 그림이라는 걸 아세요?
▷㉯: 그래요? 음, 1m 정도 되나요?
▶㉮: ①이 그림은 세로는 30cm정도지만, ②가로는 거의 15m나 되요.
▷㉯: 와 정말 기네요! 다른 그림 부분도 있군요.
▶㉮: 그림 뒤쪽으로 보게 되면 이 그림을 본 사람들이 적은 글들이 쭉 적혀있어요. 총 16명이 적었다고 해요.
▷㉯: 15m나 적으려면 굉장히 내용이 많겠는데요?
▶㉮: 그림을 받은 이상적은 청나라에 사신으로 갈 때 이 그림을 가지고 갔다고 해요. 청나라에서 이상적을 환영하는 잔치가 열렸는데, 그 자리에서 이 그림을 여러 사람들에게 보여줬다고 해요.
▷㉯: 와~ 멋있네요!! 청나라이면 지금의 중국인데... 중국까지 세한도를 챙겨갔군요. 조선시대에는 그림을 여럿이서 함께 감상했나 보군요?
▶㉮: 맞아요. ③김홍도가 그린 <그림감상>을 한 번 볼까요?
▷㉯: 여러 사람들이 둥글게 모여서 종이를 보고 있네요.
▶㉮: 사실 저 종이는 그림이에요. 조선시대에는 그림이 굉장히 귀했기 때문에 저렇게 모여서 함께 감상하며 이야기를 나눴다고 해요.
▷㉯: 좋은 그림을 자랑하고 싶었던 걸까요? 그럼 청나라로 간 세한도는 어떻게 되었나요?
▶㉮: ①이상적과 만난 청나라 문인들은 자신들의 감상이나 시를 세한도 뒤쪽에 모두 적어주었다고 해요.
▷㉯: 꼭 인터넷에 올린 글과 사진에 댓글을 다는 것 같네요!
▶㉮: 맞아요! 이런 감상평은 제발이라고 불렀어요. 다양한 그림들에서 이런 제발을 볼 수 있답니다.
세한도를 보고 Choi는 뭐라고 쓸 것 같아요?
▷㉯: 음, 저라면... ‘나무들 사이에 있는 집이 참 쓸쓸해 보여요. 겨울동안 춥지 않게 지내세요’라고 적었을 것 같아요. 이렇게 감상평을 직접 생각해보니 그림에 담긴 김정희의 생각이 더 잘 느껴지는 것 같네요.
▶㉮: 세한도에 제발을 남긴 사람들도 같은 생각이었나 봐요. 이 그림에는 정말 다양한 사람들의 감상이 적혀있어요. 청나라 사람들뿐만이 아니라, 이후에 이 그림을 소장했던 사람들의 감상평도 적혀있어요.
▷㉯: 여러 사람들이 인상 깊게 그림을 감상했었나 보네요.
▶㉮: 마지막에 적힌 부분은 무려 100년 뒤에 적힌 감상평이랍니다.
▷㉯: 정말 오랜 시간이 지난 후네요! 그 사이 그림에는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요?
▶㉮: 세한도는 중간에 일본으로 건너갔다가 다시 한국으로 돌아오게 되요. 그 당시의 한국은 일본식민지배하에 있었습니다. 이 그림을 다시 보게 된 사람들은 그림의 소장 역사, 인생의 무상, 지조를 지켰던 독립운동가들, 그림을 구입한 소전의 지조에 대한 감회를 적었습니다.
▷㉯: ③이렇게 많은 이야기가 담겨있으니 그림이 15m나 되는 엄청난 길이가 될 수 있었군요. 김정희와 이상적 말고도 수많은 사람들이 이 그림을 완성시킨 것 같아요.
▶㉮: 100년에 걸쳐 제주도, 북경, 서울에서 이루어진 공동작업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우리도 다른 그림들을 감상할 때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정도에서 그치지 않고, 직접 자신의 생각을 글로 남겨보는 것은 어떨까요?
▷㉯: 와~ Young 오늘 유난히 멋있어서 보이네요~
▶㉮: 하하하 고마워요~ ①오늘은 김홍도의 풍속화들과 <평안감사를 환영하는 잔치>, 김정희의 <세한도>를 감상해 봤는데요, 어떠셨나요?
▷㉯: 이 세 그림을 통해 조선시대에 그려진 그림들의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어요. ②당시의 생활들을 잘 볼 수 있는 그림들도 있는가 하면, ③작가의 감정을 잘 읽어볼 수 있는 그림도 있네요.
▶㉮: 조선시대에도 지금처럼 다양한 종류의 그림들이 그려졌고, 그림들에 따라서 그리는 방식도 달랐답니다. 실제 생활을 직접 보는 것처럼 사실적으로 그려진 그림도 있는가하면, 춥고 고독한 유배 생활이 느껴지는 듯한 그림도 있죠.
▷㉯: 이런 그림들은 어디에서 만나볼 수 있나요?
▶㉮: ③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한겨울 지나 봄 오듯 – 세한, 평안’전시가 열리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저희가 함께 살펴본 <평안감사를 환영하는 잔치>와 <세한도>가 미디어아트로 전시되어있습니다.
▷㉯: 미디어아트요? 흥미로운 전시 관람이 될 것 같네요~
▶㉮: 현대 작가의 미디어아트를 통해 그림감상을 한 층 더 몰입하게 만들어줍니다.
▷㉯: 왠지 그럴 것 같아요. 빨리 가서 전시관람하고 싶네요~
▶㉮: 그리고 잊지 말고 김홍도 풍속화 전시는 상설전시관 2층에서 있습니다. 박물관 방문해서 함께 관람하세요.
▶㉮: 이제 헤어져야 할 시간이네요. 저희 ①3월 26일 2시에 새로운 주제로 또 만나요. 뮤지엄 원더 카트를 직접 보고 싶지 않나요?
▷㉯: 네, 언제 하죠?
▶㉮: 매주 화~금 13:30~15:30에 진행됩니다.
▷㉯: 알겠어요. 어디서 볼 수 있나요?
▶㉮: 박물관 상설전시관 1층에서 뮤지엄 원더 카트가 진행됩니다.
▷㉯: 알았어요! 놀러오세요.
▶㉮: 함께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곧 또 만나요! 안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