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그리스 올림피아 제전 경기 때 승리를 기원하고 신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바치기 위해 그리스의 코린트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투구는 1875년부터 7년여 동안 그리스 올림푸스 제우스 신전을 발굴한 독일 고고학교수인 쿠르티우스의 발굴팀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이러한 형태의 투구는 그리스에서 가장 오래된 코린트 양식으로 눈과 입을 제외한 모든 부분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감싸는 일체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코린트 양식으로 만들어진 최초의 투구는 원형의 머리부분에서 목까지 직선으로 내려오게 만들어졌습니다. 이후에 만들어진 것이 바로 손기정(孫基禎, 1912~2002)이 받은 투구와 같은 것으로 머리부분에서 아래로 잘록하게 들어갔다가 목 부분에서 나팔처럼 퍼지게 제작된 것입니다.
손기정이 올림픽 마라톤 우승 부상으로 받은 이 투구는 고대 그리스 올림피아 제전 경기 때 승리를 기원하고 신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바치기 위해 그리스 코린트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손기정이 올림픽 우승 당시 메달과 함께 부상으로 받아
코린트식 투구는 구조상 너무 무겁다는 것과 귀를 모두 덮고 있기 때문에 외부의 소리를 제대로 들을 수 없고, 투구 내부에 통풍이 되지 않아 여름에 착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현재까지 고대 그리스 신전이나 기념비에 새겨진 무인 조각상에서 투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지만, 실제로 이와 같이 완벽한 원형을 유지한 예는 거의 없다는 점에서 이 투구의 가치가 높습니다. 투구의 상태를 살펴보면, 앞쪽 일부분이 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상태가 양호합니다. 테두리에는 구멍이 뚫려있고 일부는 고정못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이 구멍들은 머리와 투구 사이의 완충효과를 위해 헝겊 등을 안쪽에 덧대고 이를 고정하기 위해 뚫은 것으로 고정못으로 고정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리고 앞쪽에는 이 고정못 바깥으로 점열문과 톱니모양 문양이 2중으로 새겨져 있습니다.
이 투구는 손기정 선생이 1936년 제11회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우승하고 메달과 함께 부상으로 받게 되어 있었지만, 당시 손 선수에게 전달되지 못한 채 베를린박물관에 50여 년간 보관되어 있었습니다. 올림픽 마라톤 우승자에게 그리스가 유물을 주는 관행은 제2회 파리 올림픽(1900년)부터 실시된 것으로 기원전 490년 아테네 마라톤 평원에서 벌어진 페르시아와의 전쟁에서 그리스가 승리한 후 그 소식을 알리기 위해 약 40㎞를 달려온 병사 페이디피데스(Pheidippides)를 기리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마라톤 우승자에게 수여된 유물은 ‘헤르메스’의 흉상과 같은 실제 유물이었으며, 이러한 유물 수여는 고대 유물의 유출 방지령이 내려진 2차 세계대전까지 계속되었습니다. 1936년에 베를린올림픽 당시에는 그리스의 브라디니(Vradyni) 신문사가 투구를 마라톤 우승자에게 선물로 내놓았던 것인데, 당시 국제올림픽위원회에서는 ‘아마추어 선수에게는 메달 이외에 어떠한 선물도 공식적으로 수여할 수 없다’는 규정을 근거로 손기정에게 이 투구를 수여하지 않았던 것입니다. 더군다나 손기정은 마라톤 우승자에게 메달 이외에 수여될 부상이 있다는 사실을 전혀 모른 채 귀국하였습니다. 당시 일본은 식민지 출신 우승자의 권리를 대변할 의지가 전혀 없었기 때문에 손기정 선생에게 이 사실을 알려주거나 국제올림픽위원회에 건의하지 않았으며, 결국 이 사실은 역사 속에 묻혀버렸습니다.
50여 년이 지난 후 되찾은 투구, 서구 유물로는 처음으로 보물로 지정
그로부터 40여년이 지난 1975년 손기정 선생은 우연히 앨범을 정리하다가 1936년 베를린 올림픽 직후에 일본 임원으로부터 받은 사진 속에 자신이 받아야 할 부상으로 그리스 투구가 있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이후 선생은 이 투구의 행방을 수소문한 끝에 베를린 샤로텐부르그(Charlottenburg)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음을 확인하고 반환을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베를린 샤로텐부르그 박물관에 전시된 이 투구의 설명판에는 ‘그리스 코린트 시대의 투구 / 마라톤 승자를 위해 아테네의 브라디니 신문사가 제공한 기념상 / 제11회 베를린 올림픽 1936년 / 손기떼이(손기정의 일본어 표기) / 일본 / 2시간 29분 19초’라고 독일어로 명시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투구를 반환 받기 위한 노력은 그 후 10여 년간 계속되었습니다. 반환을 위한 노력에는 국내 언론사와 대한올림픽위원회는 물론 투구를 부상으로 내놓은 그리스의 브라디니 신문사와 그리스올림픽위원회가 앞장섰습니다. 독일올림픽위원회는 이 기간 동안 절대 돌려줄 수 없다는 입장을 취했고, 대신 복제품을 주겠다는 제안을 하기도 했으나 손기정 선생은 이를 거부했습니다. 그러다 1986년 베를린올림픽 개최 50주년을 기념하여 독일올림픽위원회에서 마련한 기념행사에서 투구를 손기정 선생에게 헌정하기로 하면서 반환 받게 되었습니다.
50년 만에 주인의 손에 돌아온 그리스 투구는 비록 외국의 유물이기는 하지만 2천 6백년 전에 만들어진 것이고, 일제 강점기의 암울한 시기에 우리 민족의 긍지를 높여준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우승자의 부상품이라는 역사적 가치를 높게 평가하여 1987년 서구 유물로는 처음으로 보물(옛 지정번호 보물 제904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이후 손기정 선생은 ‘이 투구는 나의 것이 아니라, 우리 민족의 것’이라는 뜻을 밝히고 1994년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될 수 있도록 국가에 이 투구를 기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