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옥에서 어머니를 만나다
여기 한 사람이 있습니다. 머리를 삭발하고 긴 가사를 입은 모습에서 그는 출가(出家)의 길을 택한 승려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하늘 위에서 두 손을 모으고 선 한 승려로부터 이 그림의 이야기는 시작됩니다. 그는 부처가 열반에 들기 전 재세시(在世時)에 부처를 따르던 열 명의 제자 중 하나인 목련존자[目鍵蓮尊者]입니다. 부처의 제자는 저마다 모두 한 가지씩 남들과 다른 능력을 지니고 있는데 그는 무엇보다 신통력이 뛰어난 인물이었습니다. 하루는 그가 신통력의 눈으로 삼라만상 온 세계를 둘러보다 자신의 돌아가신 어머니가 아귀도에 빠져 계신 것을 보게 됩니다. 아귀란 윤회를 통해 태어나는 여섯 가지 길 중 하나로, 아귀도에 빠진 영혼은 목구멍이 바늘처럼 가늘고 음식을 먹으면 모두 불꽃으로 변하여 늘 굶주림의 고통에 허덕인다고 합니다. 아귀로 태어난 어머니는 피골이 상접하여 차마 볼 수 없는 처참한 모습이었습니다.
지옥에서 어머니를 만나게 된 목련은 슬픔을 가다듬고 발우에 밥을 가득 담아 어머니에게 드시게 하였습니다. 그러나 밥은 입으로 들어가기도 전에 불꽃으로 변했고 그의 어머니는 끝내 음식을 먹을 수 없었습니다. 그는 비참한 마음으로 어머니를 대신해 지옥의 고통을 받겠다고, 부처에게 어머니의 구제방법을 묻게 됩니다. 그러나 그의 어머니는 업력이 무겁고, 악업의 뿌리가 깊어 비록 모자간이라고 해도, 효도의 마음으로도 대신할 수 없으며, 천신(天神)이나 지신(地神), 사천왕신의 힘으로도 어찌할 수 없으며, 오직 스님들의 위력이라야 비로소 구할 수 있다는 대답을 듣습니다.
『불설우란분경(佛說盂蘭盆經)』에 전하는 목련존자 이야기는 유교의 효사상이 불교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등장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불교에서는 사랑이나 애정도 미움, 질투, 탐욕과 마찬가지로 모두 인연에 의한 마음의 병으로 봅니다. 따라서 부모를 공경하는 마음도 불교에서는 한낮 인연의 업보에 지나지 않습니다. 집착하는 마음에서 벗어나고 인연의 굴레에서 벗어날 것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특히 자신이 소유한 모든 것을 버리고 평생토록 부처의 가르침에 따르기를 선택한 승려에게 현생의 어머니는 윤회하는 가운데 만난 무수한 인연 중 하나일 뿐입니다. 그러나 지옥에 빠진 어머니를 근심하고 어머니의 고통을 덜어주고자 하는 마음은 수행의 길을 가는 승려, 보살이 갖는 자비심으로 확장됩니다.
목련존자 이야기를 모티브로 아귀지옥에서 고통 받는 망자를 극락세계로 천도하고자 하는 염원이 감로(甘露), 즉 '단 이슬'이라는 재미있는 이름을 가진 불화에 도해되어 있습니다. 감로도에는 육도윤회의 굴레에서 고통 받고 있는 영혼이 살아있는 자가 마련한 의식과 기도를 통해 극락으로 갈 수 있다는 드라마틱한 이야기가 역동적으로 도해되어 있습니다.
아귀(餓鬼), 배고픔에 굶주린 귀신
감로도의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또다른 중심인물은 그로테스크한 모습으로 배고픔의 고통을 호소하는 아귀입니다. 아귀는 목련존자의 어머니이자 육도를 헤매는 모든 영혼을 상징합니다. 감로도의 하단에는, 지금은 아귀가 되어 고통 받는 고혼들의 살아생전의 모습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져있습니다. 보통의 감로도에서 강조되어 있는 의식과 법회 장면은 생략되었고 대신 빈 밥그릇을 들고 울부짖는 아귀의 모습이 불타오르는 불꽃을 배경으로 역동적으로 강조되었습니다. 그 하단으로는 영혼이 겪은 전생의 업이 도해됩니다.
늙어서 의지할 데가 없거나 집이 무너져 깔려 죽거나 고향을 떠난 외로운 타향살이에서 굶어 죽거나 침을 잘못 맞거나, 우물에 빠지거나, 병이 들어 죽거나 아이를 낳다가 죽는 등 조선시대 사람들의 생각 속에 있던 불행한 죽음의 모습입니다. 혹은 즐겁게 시작한 놀이 끝에 멱살을 잡고, 주인이 노비를 때려 죽이거나, 백년해로를 약속한 부부끼리 죽일 듯 싸우고 있습니다. 삶과 죽음의 경계, 현실과 지옥의 경계가 모호한 바로 우리들 삶의 모습입니다. 이 장면들은 영혼이 겪은 갖가지 죽음의 모습을 도해한 것이자, 삶 속에서 만나는 최악의 순간입니다.
중생들이 겪는 전생의 업을 표현한 내용. 잘못된 치료로 죽거나 주인이 노비를 살해하거나 형벌로, 혹은 출산으로 인한 죽음 등 조선시대 사람들이 생각한 불행한 죽음이 감로도에 도해되어 있습니다.
지옥에 갇혀 끔찍한 형벌을 받는 불행한 인물들. 우측 상단은 불보살이 내리는 단 이슬로 지옥의 고통을 끝내고 나오는 이들입니다.
경전에 의하면 승려들의 여름 하안거가 끝나는 음력 7월 15일, 우란분재를 베풀면 살아 있는 부모는 물론 7대의 선망(先亡) 부모와 친척들이 모두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합니다. 영험한 의식과 간절한 기도는 상부의 일곱 여래를 감응시킬 것입니다. 상단에 표현된 부처들은 구제를 위해 감로를 지니고 쏜살같이 강림하고 있습니다. 아귀도에 빠져있는 중생들은 칠 여래가 내리는 감로를 받아 먹음으로써 해탈에 이를 수 있습니다.
한국 사찰의 법당 한쪽 벽에서 우리는 언제든지 감로도를 만날 수 있습니다. 감로도를 통해 우리는 업과 인연에 매여 현실의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지만 삶의 진실에 대해 고민하고 깨달음을 갈구하던 조선시대 사람들의 염원을 읽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