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윤봉길 의사 선서문과 유서- 한결같은 마음[赤誠]으로 나라의 독립을 기원하다:서윤희

1932년 4월 29일 상하이 훙커우 공원 거사를 앞두고 윤봉길 의사가 한인애국단 단장 김구 앞에서 한인애국단의 일원이 되겠다는 내용으로 쓴 선서문과 이력서, 그리고 유서입니다. 모두 거사를 앞두고 쓴 윤봉길의 유품으로, 특히 이력서와 유서는 독립운동가 윤봉길의 인간적 면모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어서 자료적 가치가 큽니다.

일제의 폭압에 저항하며 폭탄을 던지다

1919년 3월 1일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조선인의 독립 의지를 대내외에 천명한 이후 드디어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었습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초대 경무국장이었던 김구는 1926년 12월 국무령이 되어 독립운동의 새로운 길을 모색했습니다. 이후 1931년 일본 제국주의 주요 인사를 암살하려는 목적으로 비밀 의열(義烈) 단체인 한인애국단을 조직합니다. 그리고 일본 천황을 없애고자 이봉창을 도쿄로 잠입시켰습니다. 이듬해 1월 8일 이봉창이 도쿄 경시청 정문 앞에서 일본 천황을 향해 폭탄을 던졌으나 실패하고 그해 10월 사형됩니다. 1932년 윤봉길은 또 다른 일본 천황 살해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한인애국단에 입단했습니다. 윤봉길은 “나는 적성(赤誠: 한결같은 마음)으로써 조국의 독립과 자유를 회복하기 위하여 한인애국단원의 일원이 되어 중국을 침략하는 적의 장교를 도륙하기로 맹세합니다. 대한민국 14년(1932) 4월 26일 선서인 윤봉길. 한인애국단 앞”이라고 쓴 선서문을 목에 걸고 오른손에는 권총, 왼손에는 수류탄을 든 채 태극기 앞에서 선서했습니다. 어떤 어려움과 죽음도 마다하지 않겠다는 결의가 느껴집니다.
1932년 4월 29일 일제는 일부러 일본 승려를 죽여 상하이 사변을 일으켰고, 이후 승리를 자축하고 일본 천황 생일을 기념하는 천장절 행사를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서 거행했습니다. 3만여 명의 군중이 모여들었습니다. 축하 행사장 단상 앞에는 일본군 장교와 주요 인사들이 자리 잡았고, 뒤쪽 병사들이 경계를 섰습니다. 비가 내리기 시작하고 주요 인사들이 단상에 올랐습니다. 기미가요가 울려 퍼지며 합창이 끝나갈 무렵, 윤봉길은 준비해 간 폭탄을 단상을 향해 던졌습니다. 굉음과 함께 폭탄이 터지며 행사장은 아수라장이 되었습니다. 상하이 사변의 일본 사령관이었던 시라카와, 일본 거류민단장 가와바타 등은 그 자리에서 사망하고 주요 인사들도 중상을 입었습니다. 윤봉길은 현장에서 바로 체포되어 5월 25일 사형이 선고되었습니다. 그러나 정전협정으로 일본군의 철군 결정이 내려지면서 윤봉길은 11월 18일 일본으로 이송되었고, 12월 19일 사형이 집행되어 봉분도 없이 매장되었습니다. 광복 후 1946년 윤봉길의 유해는 고국으로 돌아와 효창공원에 안장되었습니다.

윤봉길, 「한인애국단 선서문」, 1932년, 27.0x21.5cm, 신수6269

윤봉길, 「한인애국단 선서문」, 1932년, 27.0x21.5cm, 신수6269

장부가 집을 나서면 돌아오지 않는다

윤봉길은 이력서와 아들에게 남기는 유서, 청년 제군들에게 쓴 수필, 김구 선생에게 쓴 시 등을 한 권의 공책에 남겼습니다. 글마다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는 것을 마땅히 해야 할 일로 여기는 굳은 의지가 문장 곳곳에 담겨 있습니다. 이력서는 자신이 명석하고 재량도 있었지만 “다른 별호는 살가지[狸]였다. 성질이 남달라 굳세고 조급하여 동년배들과 싸워 진 적이 없었으며 접장에게 얻어맞더라도 눈물 흘리지 않고 도리어 욕설을 했다. 서당에서 규칙 위반을 해서 선생님이 종아리를 때리려고 하면 두 눈을 크게 뜨고 말똥말똥 쳐다보았다”라고 썼습니다. 다른 사람에게 굽히지 않는 성질을 삵에게 비유했는데, 그는 다른 사람의 말보다는 자기 생각을 중요시하며 곧 행동으로 옮겼습니다. 시문도 잘 지었고, 16세에는 일본어 회화에 능통했습니다. 그의 능숙한 일어 실력은 훙커우 공원에서 삼엄한 경비를 뚫고 행사장 앞까지 들어가 거사를 성공시키는 데 큰 힘이 되었습니다. 17~18세에는 어린이를 가르치고 19세에는 야학을 열어 농촌 운동에 힘썼습니다. 23세에 일제의 압제하에 고통받는 사람들을 그저 보고만 있을 수 없어 자신의 철권으로 적을 부숴버리겠다고 다짐하며 집을 나가 임시정부가 있는 상하이로 향했습니다.

윤봉길, 이력서와 유서 등이 담긴 유품 공책, 1932년, 29x16.5cm(17매 1책), 신수6270 윤봉길, 이력서와 유서 등이 담긴 유품 공책, 1932년, 29x16.5cm(17매 1책), 신수6270

윤봉길, 자필 이력서, 유품 공책 윤봉길, 자필 이력서, 유품 공책

적성으로 나라의 독립을 기원하다

윤봉길에게는 부모님과 아내, 그리고 큰아들 모순(模淳, 본명은 淙)과 고향을 떠난 뒤 태어난 둘째 아들 담(淡)이 있었습니다. 윤봉길은 두 아들에게 “반드시 조선을 위하여 용감한 투사가 되어라. 태극의 깃발을 높이 드날리고 나의 빈 무덤 앞에 찾아와 술을 부어놓으라. 그리고 너희들은 아비 없는 것을 슬퍼하지 말아라”라고 당부했습니다. 조국이 해방되면 태극기를 펄럭이며 자신의 무덤에 찾아오라 한 것입니다. 이렇듯 자신의 죽음을 미리 알리며 어린 아들에게 아버지의 부재를 슬퍼하지 말라고 했습니다. 청년들에게도 군복 입고 총 메고 칼 들고 나아가 싸우라고 당부했습니다.

윤봉길, 「강보에 싸인 두 병정에게(모순, 담)」, 유품 공책

윤봉길, 「강보에 싸인 두 병정에게(모순, 담)」, 유품 공책

또한 윤봉길은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한인애국단을 조직하고 훙커우 공원 폭탄 투척을 지휘한 김구 선생을 존경하여 시 한 수를 남겼습니다. “높이 솟은 푸른 산이여! 만물을 품어 기르네. 저 멀리 서 있는 푸른 소나무여! 사철 변함이 없구나. 빛나는 봉황의 날개여! 천 길이나 높이 날아오르네. 온 세상이 모두 탁한데 선생 홀로 푸르구나. 나이 들수록 더욱 강건하심은 선생의 의기로다. 온갖 어려움 참고 견디심은 선생의 적성이로다.” 독립운동을 하면서 윤봉길이 가장 믿었던 분은 김구 선생입니다. 그분에 대한 존경심을 이 시에 오롯이 담은 듯합니다. 한인애국단 선서문에서도 ‘적성’을 강조했고 김구 선생이 독립투쟁의 어려움을 다 이겨내신 것도 ‘적성’이라고 했습니다. 일제의 강점을 벗어나 광복을 맞이한 것은 자신의 목숨을 아끼지 않았던 윤봉길 의사, 김구 선생, 그리고 우리 민족 모두의 독립에 대한 한결같은 마음, 바로 적성(赤誠)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변경금지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윤봉길 의사 선서문과 유서 - 한결같은 마음[赤誠]으로 나라의 독립을 기원하다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