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
능호관 이인상이 쓴 『원령첩』
- 다른명칭
보물 이인상 전서 원령필(2010), 李麟祥 篆書 元靈筆, 凌壺觀李麟祥筆『元靈帖』
- 국적/시대
한국 - 조선
- 재질
종이
- 작가
이인상(李麟祥, 1710-1760)
- 분류
문화예술 - 서화 - 글씨 - 서첩
- 크기
세로 42.1cm, 가로 35.8cm
- 지정문화유산
보물
- 소장품번호
덕수 4017
이 서첩은 능호관(凌壺觀) 이인상(1710-1760)이 우리나라와 중국의 유명한 글들을 모아 전서(篆書)와 예서(隸書)로 쓴 것이다. 총 3권으로 구성되었으며, 표지에는 ‘원령필(元靈筆)’이라 쓰여 있다. 많은 글씨가 수록되어 있으나, 처음 시작하는 부분부터 숫자로 번호를 매겨 각각의 내용의 시작과 끝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현존하는 이인상의 필첩(筆帖) 중 가장 많은 글씨가 실려 있는 이 서첩에는 명(明) 왕수인(王守仁, 1472-1529)의 시 범해<泛海>, 당(唐) 두보(杜甫, 712~770)의 시 <수회도(水會渡)>, 조선의 이재(李縡, 1680~1746)의 시 등이 담겼다. 이인상은 그림과 글씨 모두에 이름이 높았다. 그는 해서, 행서, 전서 모두 잘 썼는데 특히 그의 전서에 대한 평가가 높았다.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능호관 이인상이 쓴 『원령첩』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유의사항
- 지정문화유산의 실물 복제품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는 별도의 허가 신청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