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중요 추천
철조 석가불좌상
  • 다른명칭

    보물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1963), 河南 下司倉洞 鐵造釋迦如來坐像, 철조불좌상, 鐵造佛坐像

  • 전시명칭

    부처

  • 국적/시대

    한국 - 고려

  • 출토지

    경기도 - 광주군

  • 재질

    금속 - 철

  • 분류

    종교신앙 - 불교 - 예배 - 불상

  • 크기

    불신높이 281.8cm, 무릎너비 213cm, 대좌너비 143cm

  • 지정문화유산

    보물

  • 소장품번호

    덕수 2748

  • 전시위치

    불교조각

고려 태조 왕건은 수도를 송악(개경)으로 천도한 후 919년부터 법왕사(法王寺), 왕륜사(王輪寺) 등 여러 사찰을 창건하고 중수하는 대규모 불사를 진행하였다. 이 시기 수도를 중심으로 불상의 수요가 증대됨에 따라 백제와 신라의 중심지에서 활동하던 조각가들이 경기도 일대로 유입되었고 석조불, 금동불, 철불 등의 다양한 불상이 조성되었다. 이 중에서도 철불은 '철(鐵)'이라는 재료의 특성상 비교적 큰 규모의 상(像)으로 조성되어 사찰의 중심 전각에 주존불로 봉안되었다. 2미터가 넘는 철불은 이러한 예 중 하나이다. 철불은 왕건이 즉위하고 고려가 발흥하기 시작한 920~930년대에 조성된 불상으로 경기도 광주군 하사창리(현 경기도 하남시 하사창동)에서 출토되었다. 이 철불은 고려 태조와 혜종의 장인이었던 왕규(王規)의 후원으로 조성되었고, 상호에서 나타나는 긴 눈꼬리, 짧은 인중, 작은 입 등의 표현은 고려 초기 불상 양식의 대표적인 특징이다. 이뿐 아니라 광주 철불은 통일신라시대 대표적인 불상인 석굴암 본존불의 양식을 상당부분 재현하였다. 당당한 어깨와 늘씬한 허리, 우견편단의 대의 표현, 양 손의 위치와 손갖춤, 군의 자락이 발 앞으로 동그랗게 모이는 모습 등이 서로 비슷하다. 이 외 고려시대에 조성된 사나사 철불, 전傳 보원사지 철불 등도 석굴암 본존불과 유사한 특징을 보이며 통일신라시대 불상 양식을 계승하였다.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철조 석가불좌상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유의사항

  • 지정문화유산의 실물 복제품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는 별도의 허가 신청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