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은 훈민정음 반포 574주년을 맞이하여
테마전 <한글로 풀어 쓴 역사 이야기>를(2020.10.7.~2021.3.31.)를 개최합니다.
이 전시는 국립중앙박물관이 2004년부터 편찬한 『역사자료총서』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역사자료의 내용을 재미있게 풀어내어
청소년을 비롯한 일반 대중에게 역사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자 마련하였습니다.
한자나 옛 한글로 쓰여진 역사자료를 한글로 쉽게 풀어내고,
재미있는 콘텐츠와 함께하는 전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만나보세요.
o 전시기간: 2020.10.7.(수) ~ 2021.3.31.(수)
o 전시장소: 상설전시실 중근세관 조선2실
※ 상설전시관은 코로나19로 인해 사전 예약제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온라인 사전 예약 후 관람이 가능합니다.
(예약 인원 미달 시 현장에서 입장권 발권 후 입장 가능)
o 주요 전시품
1부: 한글로 풀어 쓴 조선시대 재산나누기 “나라의 법을 어긴 놀부”
- 남매가 재산을 균등하게 나눈 16세기의 분재기: 권덕응 남매 화회문기
- 제사를 지내는 맏아들이 더 많은 재산을 상속한 18세기의 분재기: 김팔공 처 이씨 허여문기
2부: 한글로 풀어 쓴 사도세자 묘지명 “사도, 그 이름에 담긴 속뜻”
-영조가 직접 쓴 사도세자 묘지명
-영조가 만든 사도세자 옥인(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정조가 만든 사도장헌세자 옥인(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3부: 한글로 풀어 쓴 정조 편지첩 “정조의 은밀한 편지”
- 정조가 심환지에게 보낸 편지
심환지에게 사직상소를 지시하는 내용의 편지
상주문의 초고를 작성하여 보낸 편지
4부: 한글소설로 보는 조선의 책방 “조선의 베스트셀러”
- 스테디셀러
확인된 이본異本만 120여 종에 이르는 춘향전
최초의 창작 한글 소설 홍길동전
- 베스트셀러
숙종, 인현왕후, 장희빈의 이야기를 꼭 빼닮은 사씨남정기
굴욕적인 병자호란을 승리로 그리는 박씨전(국립한글박물관 소장)
o 동영상
한자로 된 어려운 역사자료가 우리시대의 문자로 다시 태어납니다 역사는 이야기입니다 한글로 풀어 쓴 역사 이야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만나요 574돌 한글날 기념 국립중앙박물관 테마전 한글로 풀어 쓴 역사이야기 2020.9.29.(화)~2021.3.31.(수)
한글로 풀어 쓴 역사이야기 전시 홍보 (00:25)
국립중앙박물관은 574돌 한글날을 맞아 테마전 ‘한글로 풀어 쓴 역사이야기’를 준비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역사자료총서 사업을 통해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역사자료를 번역하여 연구자와 일반 국민께 제공해오고 있습니다. 이번 전시는 그러한 노력에 더하여 한글날을 맞아 한문으로 된 어려운 역사자료들을 오늘날의 감성으로 풀어 여러분들게 보여드리고자 기획되었습니다. 놀부가 부모의 재산을 홀로 차지하고, 착한 동생 흥부를 내쫓은 것은 조선시대 법으로 합법적인 것이었을까요? 조선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이래로 조선의 재산상속 원칙은 ‘고르게 나눈다’는 균분이었습니다. 그런데 조선후기에는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일이 중요해지면서 제사를 맡는 맏아들에게 다른 자녀보다 재산을 많이 물려주기 시작했습니다. 16세기의 권덕응 남매가 재산을 나눈 문서를 보면 부모님의 재산을 균일하게 나눈다는 합의 아래 논, 밭, 집, 종을 균등하게 나눈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에 반해 18세기 이씨부인이 자녀 5명에게 재산을 나누어 준 문서에는 제사를 지내는 맏아들에게 다른 형제와 딸(사위)보다 더 많은 재산을 상속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이렇게 변화했던 조선시대의 상속문화를 쉽게 풀이하여 재미있는 영상과 함께 소개하고 있습니다. 영조가 아들인 사도세자를 뒤주에 갇혀 죽게 한 일은 조선 역사상 비극적인 사건으로 꼽히기도 합니다. 사도세자가 죽은 뒤 역조는 ‘사도’라는 이름을 아들에게 내리고 무덤에 함께 묻는 묘지명을 직접 지었습니다. 그 내용을 보면 사도세자의 죽음은 나라와 백성을 위한 것이었다고 정당화되어 있습니다. 반면에 정조는 즉위하자마자 아버지인 사도세자에게 ‘장헌’이라는 시호를 추가로 올렸습니다. ‘사도장헌세자’라고 새겨진 옥인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사도세자의 묘를 수원화성으로 옮기면서 영조가 지은 묘지명은 기존 사도세자의 묘자리에 그대로 두었습니다. 아버지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드러나지 않기를 바랐던 정조의 의도를 엿볼 수 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사도세자의 묘지명이 발견된 경위와 함께 영조와 정조의 입장을 엿볼 수 있는 영상을 준비했습니다. 여러분은 정조라고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아버지 사도세자를 여의고 우여곡적 끝에 즉위한 왕, 박학다식하고 개혁적인 군주 등. 기존 영화나 드라마에서 등장한 정조라는 인물은 아마도 이러할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정조가 은밀히 신하에게 보낸 편지가 세상에 공개되면서 정조의 또 다른 면모가 드러났습니다. 바로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사이로 알려진 노론 벽파의 영수 심환지에게 보낸 편지입니다. 경연에서 할 발언의 초고를 써서 보내거나, 우의정으로 제수하면서 사직서를 미리 준비하여 올리라고 하거나, 특정 인물에 대한 뒷담화를 쓰기도 했습니다. 편지의 말미마다 편지를 찢어라, 태우라고 당부했지만 심환지는 이 편지들을 고이 간직했습니다. 탕평과 개혁정책을 추구한 왕이기도 했지만, 재위 22년차 노련한 정치가이기도 했던 정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정조의 편지를 토대로 정조와 심환지의 SNS를 재구성한 영상을 준비했습니다. 조선후기 사람들은 소설을 읽는 즐거움에 빠졌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웹툰이나 웹소설, 유튜브를 즐기는 것처럼 사람들은 한글소설을 읽었습니다. 이는 조선후기 사회변동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상품화폐경제의 발달로 여가가 생긴 부유한 서민층이 소설을 소비하는 계층으로 등장한 것입니다. 처음에는 재미있는 소설을 서로 베껴서 돌려가며 읽다가 그 수요가 점차 많아지자 최초의 상업출판이라고 할 수 있는 방각과 책 대여점인 세책점이 생겼습니다. 4부에서는 오늘날의 서점에 빗대어 조선후기 사람들이 즐겼던 한글소설의 스테디셀러와 베스트셀러를 선정해 전시하고 있습니다. 「춘향전은 아마도 조선후기 가장 유명한 사랑이야기였을 것입니다. 판소리로 시작하여 소설로 정착했다고 여겨지는 「춘향전」은 확인된 이본만 120여종이 될 정도로 널리 유행한 소설입니다. 「박씨전」은 조선이 치욕적인 패배를 당했던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일종의 판타지 소설입니다. 여기 조선의 책방에서 조선후기부터 근현대까지 이어져 온 우리의 한글소설을 만나보세요. 문자로 남긴 기록은 오래도록 남아 역사가 됩니다. 하지만 그 기록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 수 없는 문자로 적혔다면, 암호와 다를 바가 없을 것입니다. 옛 기록을 지금의 문자로 다시 생생하게 살려내고 옛 유물과 함께 의미를 더하여 흥미로운 역사이야기를 들려주는 일 국립중앙박물관이 함께합니다. 한글로 풀어 쓴 역사이야기, 함께 해주세요.
한글로 풀어 쓴 역사이야기 전시 소개 (05: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