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 소식
  • 중앙박물관
특별전 “로마 이전, 에트루리아”
  • 작성일 2019-07-08
  • 조회수 1444
  • 담당자 전시과 노희숙 (02-2077-9274)

지중해의 가려진 보물, 에트루리아 문명을 찾아서
특별전 “로마 이전, 에트루리아”


ㅇ 전시기간 및 장소: 2019. 7. 9. ~ 2019. 10. 27. / 국립중앙박물관 기획전시실
ㅇ 전시품: 신전 페디먼트, 청동상, 석상, 석관, 금제 장신구 등 300여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고대 지중해 문명의 한 축이었던 에트루리아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는 특별전『로마 이전, 에트루리아』를 개최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은 2008년 이후 세계 여러 고대 문명을 국내에 소개하는 세계문명전을 지속해 오고 있다. 2010년‘그리스의 신과 인간’을 시작으로 고대 지중해 문명인 이집트 문화(2009, 2016), 그리스 문화(2010), 로마 문화(2014)를 차례로 국내에 소개해 왔다. 이번에 선보이는 ‘로마 이전, 에트루리아’는 고대 지중해 문명의 한 축이었지만, 우리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에트루리아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는 자리이다.
에트루리아는 로마 이전에 이탈리아 반도 중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했던 고대 국가로, 기원전 10세기경부터 천년 가까이 지속된 지중해의 고대 문명이다. 당대의 역사가들에게 에트루리아인은 지중해에 살았던 사람들 중 가장 매력적인 사람들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그들의 기원과 언어, 종교는 베일에 싸여 있어 신비로움을 더해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감탄과 매력을 자아낸다.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되는 이 전시는 피렌체국립고고학박물관, 구아르나치 에트루리아박물관 등에서 엄선한 약 300점이며, 전시실은 아래와 같이 5부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1부 <지중해의 가려진 보물, 에트루리아>에서는 에트루리아의 역사와 지리적 환경 등 에트루리아 전반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또한 지중해 세계에서 문화가 어떻게 교류되는지를 이야기한다. 에트루리아의 기원에 대해서는 소아시아의 리디아에서 이주해 왔다는 견해와 이탈리아 원주민이 세웠다는 견해가 있지만 뚜렷하게 밝혀진 것은 없다. 그리스인들은 에트루리아인을 가리켜 티르세노이(Tyrsenoi) 혹은 티레노이(Tyrrhenoi)라 불렀으며, 로마인들은 투스키(Tusci)혹은 에트루스키(Etrusci)라고 불렀다. 이 말은 오늘날 이탈리아 중부의  ‘토스카나’라는 지명으로 남아 있다.

2부 <천상의 신과 봉헌물>에서는 에트루리아인 삶 속의 신의 이야기다. 누구보다도 종교와 신에 관심이 많고 심취한 삶을 살았던 에트루리아인은 이웃 그리스 종교관도 수용했다. 이 종교관과 사상 등은 고대 로마 종교관의 근원이 된다. 에트루리아의 티니아(그리스의 제우스, 로마의 유피테르)는 우니(그리스의 헤라, 로마의 유노), 멘르바(그리스의 아테나, 로마의 미네르바)와 함께 가장 중요시 되었던 신으로, 이 세 신을 모신 신전이 에트루리아의 모든 도시에 세워졌다. 사람들은 신전에 모여 기도를 하고, 봉헌물을 바쳤다. 에트루리아인은 인간의 삶은 신의 통제 하에 있고, 사제들의 점성술과 예언을 통해서만 신의 뜻을 해석할 수 있다고 믿었다. 봉헌물은 신과 그것을 믿는 사람을 이어주는 연결고리라고 생각했다.

3부 <에트루리아인의 삶>에서는 시와 음악, 무용, 연회를 즐긴 에트루리아인의 삶을 다루고 있다. 에트루리아 사람들은 무역, 항해, 전쟁에 적극적이면서도 문화를 즐기고 영위하는 삶을 중요하게 여겼는데, 이것은 에트루리아 문명의 중요한 특징이다. 에트루리아의 무덤에는 당시 사람들이 사용했던 다양한 생활용품이 부장되어 있다. 에트루리아인이 남긴 무덤 벽화는 당시 사람들의 생활 모습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4부 <저승의 신과 사후 세계>에서는 에트루리아의 저승의 신과 내세관에 대해 소개하고, 에트루리아의 무덤과 장례 의례를 설명한다. 에트루리아인은 사후 세계에 대한 강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저승 신들의 존재는 죽음의 필연성을 상징한다. 그들의 유골함에 자주 등장하는 반트(Vanth)와 카룬(Charun)은 에트루리아 종교관에서 저승의 신들이다. 무덤은 에트루리아 사회를 이해하는 데 가장 풍부한 정보를 제공한다.

5부 <로마 문화에 남은 에트루리아>에서는 에트루리아에서 출발한 고대 로마 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테베레 강가의 작은 마을에 불과했던 로마는 에트루리아의 도시 외관을 본 떠 포장된 도로, 광장, 수로시설, 대규모 사원을 갖춘 도시로 발전했고, 세계 제국이 되었다. 로마에 남겨진 에트루리아의 영향 중 종교적인 영역과 권력의 상징성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로마의 권력과 종교를 상징하는 많은 표상이 에트루리아로부터 유래되었다. 로마는 에트루리아를 군사적으로 정복하였지만, 에트루리아가 남긴 문화의 흔적은 로마라는 이름 속에 여전히 살아서 오늘날까지 전해진다.
 
이번 전시의 중심은 에트루리아와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의 비교, 에트루리아의 독특한 사후 관념 이해 그리고 D. H. 로렌스(D. H. Lawrence, 1885~1930)와 함께하는 에트루리아 여행이다.
에트루리아는 그리스 문명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로마 문화의 성장의 밑거름이 되었다. 지중해의 중요한 문명인 이들 문명을 한 자리에서 비교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에트루리아인은 사후에도 삶은 지속된다는 사후 관념을 지니며 이러한 종교관은 그들을 남긴 무덤에 반영되어 있다.
우리에게『채털리 부인의 사랑』의 저자로 잘 알려진 D. H. 로렌스는 1927년 에트루리아 유적지를 답사하고 1932년『에트루리아 유적 기행기(Sketches of Etruscan Places)』를 남겼다. 이 여행기는 에트루리아에 대한 문명적 통찰력을 제공하며 아직도 에트루리아 연구자에게 자극을 주는 중요한 자료로 인식되고 있다. 로렌스가 안내하는 에트루리아, 로렌스의 감흥을 따라 관람을 마치고 나면, 마치 에트루리아로 여행을 다녀 온 느낌을 경험할 것이다.

그들은 삶의 어떤 충만함을 가지고, 자유롭고 즐겁게 숨 쉬도록 내버려둔다.
심지어 무덤들조차도.
이것이 진정한 에트루리아의 가치다.
즉, 편안함, 자연스러움, 그리고 삶의 풍요로움.
지성이나 영혼을 어떤 방향으로도 강요할 필요를 느끼지 않는 것이다.

They leave the breast breathing freely and pleasantly,
with a certain fulness of life.
Even the tombs.
And that is the true etruscan quality:
ease, naturalness, and an abundance of life,
no need to force the mind or the soul in any direction.

D.H. 로렌스의 『에트루리아 유적 기행기』 中

이번 전시는 국내에서 처음 소개되는 에트루리아 전시로, 불치 신전의 페디먼트(서양 건축에서 정면 상부에 있는 삼각형의 벽), 루니 신전의 페디먼트 등 중요한 에트루리아 문화재가 해외에서 전시되는 드문 사례이다. 특히 추모용 조각상인 <모자 상>은 이탈리아 볼테라 지역 밖에서는 처음으로 선보인다. 이번 전시는 에트루리아 문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세계 문명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확장시킬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번 특별전과 연계하여 다양한 행사를 준비하였다. 특히 특별 강연은 전시의 이해를 돕고 에트루리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관람객에게 제공할 것이다. 전시는 10월 27일까지 개최되며 전시 기간 중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문화행사가 함께 개최된다. 자세한 정보는 전시 누리집 http://www.museum.go.kr 혹은 전화 02-1688-0361을 통해 얻을 수 있다.

[붙임 참조]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특별전 “로마 이전, 에트루리아”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