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집> 경주 서봉총Ⅰ(유물편) 포스터](/uploadfile/ecms/archive/2016/01/e8512e8644166c11da3de3d14adf674f.jpg)
<13집> 경주 서봉총Ⅰ(유물편)
- 저자
박진일, 김대환, 김상민,
심수연, 유혜선, 신용비,
박승원, 윤은영 - 담당부서
고고역사부
- 발행기관
국립중앙박물관
- 발행연도
2014-12-31
- 종류
단행자료
- 페이지수
331
- 가격
비매품
日帝强占期 資料調査 報告 13輯
Ⅰ. 머리말 1
Ⅱ. 주변환경 4
1. 자연, 지리적 환경 4
2. 고고, 역사적 배경 5
Ⅲ. 유구와 유물 6
1. 유구 6
2. 유물 8
가. 금, 은(001번~047번) 8
나. 금동, 철지은장, 청동(048번~120번) 47
다. 토기(121번~277번) 64
라. 토제품, 광물(278번~281번) 95
마. 유리, 보석(282번~323번) 95
바. 석제품(324번~327번) 107
사. 철기(328번~540번) 108
아. 목기(541번~546번) 142
자. 편물 등(547번~554번) 142
차. 칠기(555번~567번) 142
카. 기타(568번~573번) 143
Ⅳ. 서봉총 출토 유물의 특징과 축조 연대 144
Ⅴ. 조사 관련 논고 159
1. 경주 서봉총의 발굴 159
(小泉顯夫, 1927,「慶州瑞鳳塚の發掘」,『史學雜誌』 38-1, 史學會, pp.75~83)
2. 서봉총의 발굴 167
(小泉顯夫, 1986,「3. 瑞鳳塚の發掘」,『朝鮮古代遺蹟の遍歷』, 六興出版, pp.47~62)
3. 경주 서봉총의 조사 175
(穴澤和光 · 馬目順一, 2007,「慶州瑞鳳塚の調査-梅原古考資料と小泉顯夫の回想もとづく發掘狀況の再現と考察」
,『石心鄭永和敎授停年退任紀念天馬考古學論叢』, pp.613~670)
Ⅵ. 맺음말 198
부록
서봉총 출토 금제품의 성분/유혜선, 신용비, 윤은영 201
서봉총 출토 직물의 개요/박승원 221
Seobongchong Tomb in Gyeongju 1 (Artifacts) 228
유물도판 235
Ⅰ. 머리말 1
Ⅱ. 주변환경 4
1. 자연, 지리적 환경 4
2. 고고, 역사적 배경 5
Ⅲ. 유구와 유물 6
1. 유구 6
2. 유물 8
가. 금, 은(001번~047번) 8
나. 금동, 철지은장, 청동(048번~120번) 47
다. 토기(121번~277번) 64
라. 토제품, 광물(278번~281번) 95
마. 유리, 보석(282번~323번) 95
바. 석제품(324번~327번) 107
사. 철기(328번~540번) 108
아. 목기(541번~546번) 142
자. 편물 등(547번~554번) 142
차. 칠기(555번~567번) 142
카. 기타(568번~573번) 143
Ⅳ. 서봉총 출토 유물의 특징과 축조 연대 144
Ⅴ. 조사 관련 논고 159
1. 경주 서봉총의 발굴 159
(小泉顯夫, 1927,「慶州瑞鳳塚の發掘」,『史學雜誌』 38-1, 史學會, pp.75~83)
2. 서봉총의 발굴 167
(小泉顯夫, 1986,「3. 瑞鳳塚の發掘」,『朝鮮古代遺蹟の遍歷』, 六興出版, pp.47~62)
3. 경주 서봉총의 조사 175
(穴澤和光 · 馬目順一, 2007,「慶州瑞鳳塚の調査-梅原古考資料と小泉顯夫の回想もとづく發掘狀況の再現と考察」
,『石心鄭永和敎授停年退任紀念天馬考古學論叢』, pp.613~670)
Ⅵ. 맺음말 198
부록
서봉총 출토 금제품의 성분/유혜선, 신용비, 윤은영 201
서봉총 출토 직물의 개요/박승원 221
Seobongchong Tomb in Gyeongju 1 (Artifacts) 228
유물도판 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