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동원학술총서 제6권 『태평성시도 연구』 발간
  • 등록일2024-08-28
  • 조회수213
  • 담당부서 동원고고미술연구소



동원학술총서 제
6<태평성시도> 연구발간

-조선 후기 理想都市의 시각화-

 

동원고고미술연구소(이사장 이영훈)는 동원학술총서 제6<태평성시도> 연구-조선 후기 이상도시의 시각화(이수미 지음, 359, 진인진) 발간하였다.

동원고고미술연구소는 동원(東垣) 이홍근(李洪根, 1900~1980) 선생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수집문화재를 기증하고 유족들이 기금을 출연하여 1981년 설립한 연구소이다. 동원 이홍근 선생의 유지를 받들어 박물관 관련 분야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2014년부터 국립중앙박물관의 학술활동 지원을 위해 동원학술총서를 발간하고 있다.

 

동원학술총서의 여섯 번째인 <태평성시도> 연구-조선 후기 이상도시의 시각화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태평성시도(太平城市圖)>를 다각도로 검토하여 미술사적, 역사적, 사회적 의미를 밝혀내고 있다.

<태평성시도>2,200여 명의 인물이 등장하는 대형 8폭 병풍으로서 2002년 국립중앙박물관이 개최한조선시대 풍속화특별전에서 처음 선보였다.‘성곽(城郭)과 시장(市場)을 갖춘 도시라는 의미의 성시(城市)라는 공간을 그렸으되, 문헌에 나오는 한양을 그린성시전도(城市全圖)’성시화(城市畫)’와 구별하면서 화면에태평(太平)’의 문자가 크게 그려져 있는 것에 착안하여 저자가 명명한 것이다.

 

조선의 국왕들은 이상적인 나라를 꿈꾸었다. <태평성시도>는 이러한 국왕의 요구에 부응하여 완성한 것이다. 화면에는 중국을 방문한 사행단이 목격한 선진 문물이 등장할 뿐만 아니라, 한양을 중심으로 전개된 상업화와 도시화의 양상을 그려내어 조선 후기 이래 국왕을 비롯한 지식인들이 품고 있던 이상적 도시를 창의적으로 그린 작품이다. 그림을 그린 시기는 18세기말~19세기초이며, 단원 김홍도(金弘道 1745~1806?)와 그의 영향권 내에 있던 화가들의 작품으로 보았다.

 

이 책은 서론과 결론을 포함하여 전체 7장으로 구성했다. 먼저 <태평성시도> 출현의 회화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전체 경물(景物)의 배치와 그 공간 안에 담긴 인물과 동물, 사물, 건축물의 표현을 분석하여 제작 의도를 추론하였다. 그리고 동시대 한국, 중국의 관련 작품들과 비교하여 회화사적 특징 및 위상을 고찰한 뒤, <태평성시도>에 담긴 성시 공간과 인간 세상에 대한 청사진을 입체적으로 도출하였다. 작품의 실증적 연구에 주력하면서 제작과정 및 기능과 수용 양상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저자의 안목과 식견이 돋보인다.

 

한국회화사 전공자인 저자는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조희룡 회화의 연구(1991)로 석사학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태평성시도> 병풍 연구(2004)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로 시작하여 국립중앙박물관 교육과장과 미술부장, 국립광주박물관장,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실장을 역임하였다.

 

()동원고고미술연구소 동원학술총서

01 한반도의 고인돌사회와 고분문화 / 지건길

02 백제 불교 사원의 성립과 전개/ 이병호

03 삼한의 고고학적 시·공간 / 박진일

04 고고학으로 살펴본 신라·가야 갑주 / 김혁중

05 박물관에서 속닥속닥경주박물관 속 신라인 이야기- / 이난영

06 <태평성시도> 연구-조선 후기 이상도시의 시각화- / 이수미



이 보도 자료와 관련하여 더욱 자세한 자료와 내용을 원하시면 동원고고미술연구소 황은순(02-2077-9527)에게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동원학술총서 제6권 『태평성시도 연구』 발간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