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소장품조사연구서 “직금(織金) 저고리의 복원과 16세기 복식문화”발간
  • 등록일2024-07-25
  • 조회수134
  • 담당부서 학예연구실

국립대구박물관소장품조사연구서

직금(織金저고리의 복원과 16세기 복식문화발간


국립대구박물관(관장 김규동)은 국립대구박물관 소장품조사연구10, 직금(織金)저고리의 복원과 16세기 복식문화를 발간하였다.

박물관은 모든 관람객이 한국의 다채로운 복식 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복식 문화재의 복원사업을 꾸준히 진행해왔다이번에 발간하는 소장품조사연구서 직금(織金)저고리의 복원과 16세기 복식문화는 용인 영덕동 무연고묘 출토복식 중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진행했던 구름과 새무늬 직금[雲鳥紋織金저고리의 복원을 마무리 짓는 결과물이다구름과 새무늬 직금[雲鳥紋織金저고리는 얇은 금사를 넣어 짠 직물로 만든 것으로 16세기의 섬세하고 뛰어난 복식·직물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재이다. 이번 연구서는 2023년에 개최했던 학술 심포지엄 이후 수정 보완된 연구자들의 성과를 담았다.

 

무덤의 출토복식은 묘주가 생전에 착용했던 옷을 관 속에 넣은 것으로조선시대 전 시기에 걸쳐서 발굴되고 있다그러나 15~16세기 조선 초기는 절대 기준으로 삼을 만한 명확한 연대의 복식이 많지 않다용인 영덕동 무연고묘 출토복식은 이런 점에서 조선 초기 복식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용인 영덕동 무연고묘에서는 52점의 복식과 18점의 명기(明器)가 발견되었고보존처리 완료 후 2013년부터 국립대구박물관에 소장되었다이후 국립대구박물관은 출토복식의 가치와 연구성과를 널리 공유하기 위해 전시와 연구 사업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이번 연구서는 구름과 새무늬 직금[雲鳥紋織金저고리를 복원하는 전 과정과 16세기 복식의 특징과 상세한 설명을 담았다. 용인 영덕동 무연고묘 출토 복식의 개요’ , ‘16세기 조선의 복식문화와 묘제’ , ‘용인 영덕동 직금 저고리의 복원과 분석’ 의 세 개 주제로 구성했다각 주제에 따라 연구 논고 8편을 함께 수록하였다.

국립대구박물관 민보라 학예연구사의 용인 영덕동 무연고묘 출토복식의 현황’ 과 용인 영덕동 무연고묘 출토복식의 구성과 연대 추정’ , 국립중앙박물관 박승원 학예연구사의 용인 영덕동 무연고 묘 출토복식에 사용된 직물의 종류와 특징’ , 충북대학교 사학과 김영관 교수의 조선의 회곽묘(灰槨墓)와 중국 명()의 요장묘(澆漿墓비교’ , 서울여자대학교 패션산업과 송미경 교수의 ‘16세기 저고리의 특징과 복식문화’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의 심연옥 교수의 한국 직금 직물의 제직과 활용’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박기찬의 직금 직물의 제직과 복원’ , 연우전통침선연구소 안인실과 이민정 연구원의 직금 저고리의 복원과 구성’ 등이다.

이 중 용인 영덕동 직금 저고리의 복원과 분석은 2년 간의 복원 과정과 직금에 대한 연구로 조선 초기인 16세기의 복식문화와 전통 복식 구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이러한 연구는 향후 복식 문화재의 복원에 필요한 중요한 경험이 될 것이다또한 조선시대 여성 복식 연구를 위한 자료 확보뿐만 아니라당시의 사회문화적 환경을 이해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보고서는 국립대구박물관 누리집의 일반자료실을 통해 누구나 쉽게 내려받기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복원된 직금 저고리는 국립대구박물관 복식문화실에서 만나 볼 수 있다.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국립대구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소장품조사연구서 “직금(織金) 저고리의 복원과 16세기 복식문화”발간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