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박물관 보존과학』 제31집 발간
  • 등록일2024-07-04
  • 조회수249
  • 담당부서 보존과학부

 


박물관 보존과학31집 발간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부석사 괘불의 조사 성과 등 논문 4, 자료 1편 공개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박물관 소장 문화유산의 과학적 보존처리 및 분석, 환경 분야를 전문으로 한 재학술지박물관 보존과학31을 발간하였다. 이번 학술지에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부석사 괘불>의 조사 결과 등 총 4편의 논문과 <보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의 정밀진단과 보존처리 과정을 자료로 수록하였다.

 

  <부석사 괘불>1684년 사찰의 야외 행사에 사용하기 위해 제작된 대형 불화이다. “<부석사 괘불>의 바탕 직물과 채색 특성 연구에서 17세기 괘불 제작과정에서 바탕 직물 제작과정의 한 단면을 살펴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대형의 괘불을 그리기 위해서는 균일한 색감을 보이기 위해바탕 직물을 동일한 직물로 사용한다. 그러나 부석사 괘불의 경우는 주로 본존불과 보살상의 중앙 부분에는 9폭의 생초(生綃)를 사용하고, 좌우 가자리의 신장상 등에는 4폭의 주() 등 세로로 11폭을 연결하였다. 그리고 상·하단에 주 1폭씩을 가로로 연결하여 총 13폭의 직물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본존불과 보살상을 중심으로 생초에 그려진 부분이 가장자리의 신장상 등에 비해 색의 채도가 밝게 나타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 채색 안료는 전통적인 무기안료를 주로 하고 황색과 청색 일부에서는 연백을 먼저 칠하고 그 위에 유기안료로 중첩하여 표현한 기법도 확인할 수 있었다.

  “고령 지산동 73~74호분 출토 유리구슬의 제작 기법과 화학 조성연구서는 지산동에서 출토 유리구슬 43점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고 화학 조성을 석하여 대가야의 유리 문화를 조명하였다. 분석 결과 지산동 유리구슬은 동일시기 백제문화권에서 발견된 유리보다 포타쉬유리 점유율이 높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한반도 유리 문화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 외에도 도자기 포장에 3D 기술을 접목한 “TPU 소재 3D 출력물을 이용한 도자기 맞춤형 포장 기술 개발 및 적용성 연구”, 문화유산의 이미지와 질감의 전이로 새로운 이미지를 추출하는 문화유산 이미지의 질감과 색상 스타일 전이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 연구는 앞으로 보존과학이 다양한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새로운 산업을 창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외에도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진행한 여주 고달사지 쌍사자 석등의 정밀진단 및 보존처리 과정을 정리하여 자료로 수록하였다.

 

  앞으로 박물관 보존과학은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과학 기술을 활용한 박물관 문화유산 보존의 새로운 연구 결과들을 다양하게 게재할 예정이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2025문화유산 과학 센터개관을 준비하며 보존처리 강화, 문화유산 가치 평가, 국공사립박물관 및 국외박물관 소장품의 원격 진단 등 국가 대표박물관으로서의 역할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내외 박물관 소장품에 대한 보존과학 확대 지원과 온라인 협력으로 맞춤형 예방 보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진행할 예정이다. 이러한 활동의 연구 성과들은 박물관 보존과학지에 수록하고 공유하여 문화 유산의 과학적 보존에 대한 연구가 한층 더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박물관 보존과학의 모든 논문은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학술·출판-정기간행물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보도 자료와 관련하여 더욱 자세한 자료와 내용을 원하시면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학예연구사 이승은(02-2077-9432)에게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박물관 보존과학』 제31집 발간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