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한국도자도록』 제2집 고려시대 상형청자2』 발간
  • 등록일2024-01-05
  • 조회수760
  • 담당부서 미술부

 

고려 상형청자 제작기법의 특징을 밝히다

-국립중앙박물관 한국도자도록2: 고려시대 상형청자2』 발간 -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소장 도자 조사연구 사업의 최신 성과를 담은 국립중앙박물관 한국도자도록 제2: 고려시대 상형청자2202312월에 발간하였다(붙임 사진1). 이 도록은 국립중앙박물관이 보관전시 중인 고려 상형청자 가운데 주자注子, 연적, 인장, 베개, 묵호墨壺(먹물을 담는 그릇), 승반承盤(주자를 받치는 그릇), , 필가筆架(붓꽃이) 9가지 기종의 2436점을 대상으로 개요논고와 함께 상세한 설명, 사진, 실측도면, 컴퓨터 단층촬영(CT) 등의 과학적 조사 분석 결과를 수록한 종합 자료집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2022년 박물관이 소장한 도자기를 다각도로 조사하여 학계와 일반에 심도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국립중앙박물관 한국도자도록시리즈 발간을 기획하였다. 그리고 그 첫 번째 주제로 고려시대 상형청자를 선정하였다. 상형청자는 동식물과 인물 등의 모양을 본떠 만든 것으로 고려청자의 투명하고 아름다운 비색翡色과 뛰어난 조형성을 갖추고 있어 고려청자의 백미로 주목받아 왔다. 2022년 발간한 국립중앙박물관 한국도자도록 제1: 고려시대 상형청자1에서는 향로, , 인물상의 3가지 기종 2222점에 대한 연구 결과를 수록하였다. 이번에 나온 제2집은 제1집에 이은 두 번째 성과로서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고려시대 상형청자 조사의 완결편이다.

 

상형청자 분류의 새로운 방향 제시

  『고려시대 상형청자1, 2은 상형 소재 중심으로 접근하던 기존의 상형청자 연구방식을 탈피하여 기종을 분류의 제1기준으로 제시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고려 상형청자가 지닌 기물 자체의 기능, 즉 쓰임을 중시하는 공예사적 관점을 견지하고 표현된 대상을 제2기준으로 하여 분류방식을 새롭게 체계화한 것이다. 이 기준에 따라 국립박물관 소장 상형청자를 12개의 기종으로 나누었고, 표현 대상은 동물, 식물, 인물 및 복합소재 등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제2집에서 다룬 9개의 상형청자 기종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주자, 연적, 인장이다. 이 중 주자는 참외와 조롱박 형태로 제작한 것이 상당수지만, 도교道敎 인물과 함께 어룡魚龍과 새 등 동물로 형상화한 점도 주목된다(붙임 사진2). 연적의 경우 표현 소재가 다양해서, 사자, 오리, 물고기 등 실재하는 동물은 물론 귀룡龜龍, 어룡같은 상상의 동물, 그리고 죽순, 복숭아 등의 식물 형태로도 만들었다. 인장은 크기가 작지만 손잡이 부분을 상형하여 식별하기 쉬운 것이 특징이다. 이밖에 베개는 쌍사자 모양을, 묵호는 원숭이 모양을(붙임 사진3), 승반과 완은 꽃 모양을 본떠 만든 것들이 전한다. 한편, 양 끝부분을 용의 머리로 장식한 필가와(붙임 사진4) 함께 용과 연못의 모티프를 결합하여 만든 문진文鎭으로 추정되는 독특한 청자도 이번 조사 대상에 포함하여 수록했다.


새롭게 밝혀진 내부구조와 제작기법

  이 도록에서는 각 대상품마다 상세한 설명문과 상세도판뿐만 아니라 3D스캔 도면, CT(컴퓨터 단층) 촬영과 3차원 형상 데이터를 수록하여 정확한 실측치와 단면 형태를 파악하도록 했다. 아울러 과학적 분석 결과를 제시하여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내부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태토를 다듬은 방법, 유약이 흐른 부분과 균열 형태, 결합 방식 등 그동안 알기 어려웠던 제작기법의 특징을 새롭게 밝힐 수 있었다.

 

  주자는 물레를 이용하여 한 번에 성형하는 방식, 윗부분과 아랫부분을 따로 만들어 결합하는 두 종류의 제작방식이 확인되었다. 특히 동물이나 식물의 복잡한 모양을 본떠 만든 주자의 경우, 물레로 한 번에 성형하기 어렵기 때문에 위아래를 결합한 것이 특징이다. <청자 귀룡 모양 주자>(덕수5636)의 경우 CT 3차원 형상 데이터 사진에서 상부와 하부를 각각 따로 만들어 내부를 다듬은 후 이 두 부분을 결합한 경계선이 선명히 보인다(붙임 사진5). <청자 퇴화 석류 모양 주자>(덕수2170)의 경우, 아랫단에 3개의 석류를 잇대어 놓고 위에 1개의 석류를 올려놓은 형태이다(붙임 사진6). 3차원 형상 데이터 사진을 보면 아래쪽 3개의 석류들은 상하부를 따로 만들어 붙였고, 위쪽 1개의 석류도 같은 방식으로 만들었는데, 전체적으로 이 두 부분을 결합한 후 통로를 내어 내부가 이어진 구조를 띤 것이 흥미롭다.

 

  주자 손잡이의 제작방식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몸체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구조적 안정성을 꾀한 점이 주목된다. 대표적인 예로 <청자 상감·동화 포도·동자무늬 조롱박 모양 주자>(덕수19)와 같이 몸체에 낸 구멍에 손잡이 윗부분을 끼워 넣어 이음새 부분을 튼튼하게 만든 방식을 들 수 있다(붙임 사진7).

 

  연적은 안쪽에 빈 공간을 마련하고 물을 담아 출수구로 따를 수 있게 만드는데, 그 복잡한 내부 구조를 자세히 알게 된 것도 이번 조사의 성과이다. <청자 사람 모양 연적>(덕수1729)은 두 손에 든 정병淨甁이 출수구에 해당한다(붙임 사진8). 이 부분을 따로 만들어 몸체와 결합한 뒤 그 사이에 물길을 냄으로써 조각의 형태미와 그릇의 기능성이라는 두 가지 요소를 자연스럽게 조화시켰다. 제작자는 처음부터 연적의 내부 구조를 철저히 계산하고 실험을 거쳐 완성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도록은 전통적인 도자사 연구방법을 기반으로 하되 최신 분석장비를 활용한 과학적 조사를 병행하여 그동안 베일에 싸여있던 고려 상형청자 제작기법의 여러 특징을 새롭게 밝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고려 상형청자의 뛰어난 조형성과 예술성을 한층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당시 청자 장인들은 축적된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상형청자의 기능과 미적 측면 모두에서 높은 완성도를 성취할 수 있었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올해 11국립중앙박물관 한국도자도록 제1, 2의 성과를 바탕으로 특별전 고려시대 상형청자(가제)’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번 특별전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상형청자와 더불어 국내외 주요 기관에 소장된 작품을 함께 선보여, 상형청자 역사적 가치와 아름다움을 일반 대중에게 알기 쉽게 소개하고자 한다. 고려 상형청자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이번 특별전을 계기로 미술사 연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도 상형청자의 가치에 주목하고 그 자료를 활용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앞으로도 국립중앙박물관은 소장 도자자료에 대한 학술 조사를 지속하고 조사 결과를 국립중앙박물관 한국도자도록로 공개할 예정이다.

 

* 한국도자도록은 PDF 파일로 제작되어 박물관 누리집에서 누구나 내려받아 볼 수 있다.

  누리집 경로: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 > 학술·출판 > 미술사학 > 한국도자도록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ticle_19460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욱 자세한 자료와 내용을 원하시면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학예연구사 서유리(02-2077-9487)에게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3.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한국도자도록』 제2집 고려시대 상형청자2』 발간.hwp(36.4MB) 내려받기 파일보기
  • 이미지 자료.zip(35.3MB) 내려받기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한국도자도록』 제2집 고려시대 상형청자2』 발간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