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조선 후기 미공개 회화, 미국에서 귀향
  • 등록일2023-04-05
  • 조회수431
  • 담당부서 학예연구실



한국회화사의 공백을 채워줄

조선 후기 미공개 회화, 미국에서 귀향

-  조선 최대 서화 컬렉션 석농화원<묵매도>를 비롯한 미공개 회화 4건 발견 -

-  국립광주박물관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의 두 번째 문화재 환수 성과 -

조선시대 최대 서화 컬렉션 석농화원石農畫苑기록을 사실로 확인시켜주는 작품을 비롯한 조선후기 미공개 회화들이 미국에서 발견, 국내로 돌아온다.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이애령)은 지난 328() 귀중한 조선 후기 회화 4건을 기증받았다.

이 작품들은 미국 버지니아주 페어팩스 카운티에 거주하는 게일 허Gail Ellis Huh 여사가 시아버지인 허민수(1897~1972)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다.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김정희, 이하재단’) 미국사무소의 조사와 교섭을 통해 허민수 선생의 연고지인 국립광주박물관의 품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기증 서화는 총 4건으로 조선 후기 최고의 서화 수장가 김광국金光國(17271797)석농화원중 알려지지 않았던 작품인 김진규金鎭圭(16581716) <묵매墨梅圖>를 비롯하여, 신명연申命衍(1808?)<동파입극도東坡笠屐圖> 18~19세기 조선시대 회화사 연구에 중요한 미공개 작품들이 포함되어 주목된다. 김진규의 <묵매도>는 지난 2013년 새롭게 알려진 석농화원필사본 권1제목과 그림의 평만 전해오던 것으로서 이번에 실제 작품이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 하나 주목할 작품은 조선 말기 문인화가 신명연의 <동파입극도>이다. <동파입극도>는 중국 송대 문인 동파東坡 소식蘇軾(10371101)이 귀양 시절 삿갓[]과 나막신[] 차림으로 비를 피하는 처연한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화사한 화훼도로 유명한 신명연의 희귀한 인물화라는 점에서 19세기 회화사 연구에 중요한 작품이다.

기증자 고 허민수 선생은 전남 진도 출신의 은행가이자, 호남화단의 거장 소치 허련許鍊(18081893) 가문의 후손이다. 이번 기증품 중에는 소치 허련의 작품 2점이 포함되어 있다. 힘차게 뻗은 소나무를 그린 <송도 대련> 화면 상단에는 허련이 적은 제시題詩와 낙관이 남아있으며, 그의 화풍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8폭으로 된 <천강산수도병풍淺絳山水圖屛風>은 전형적인 소치 화풍의 산수도이다. 특히 병풍 뒷면에는 허민수 선생과 가까운 친척인 서화가 의재 허백련許百鍊(18911977)이 쓴 표제가 남아있어, 두 사람의 깊은 인연을 엿볼 수 있게 해준다.

이번 기증은 20225월 소장자 게일 허 여사가 고인이 된 남편 허경모 씨가 시아버지 허민수 선생에게 물려받은 허련의 그림을 정리하기 위해, 이웃에 살던 한국인 가족에게 도움을 청하며 시작되었다. 이후 워싱턴한국문화원을 통해 연락을 받은 당시 재단 미국사무소장은 소장자의 자택에서 허련 작품 감정 및 자문을 하던 중 1층 복도 구석에 걸려있던 김진규의 <묵매도>를 발견하였고, 이후 조사 과정에서 신명연의 <동파입극도>를 추가로 확인하였다.

재단 측으로부터 소장품들의 회화사적 중요성과 환수의 필요성을 전해 들은 게일 허 여사는 흔쾌히 한국에 기증할 뜻을 밝혔고, 시아버지 허민수 선생의 고향인 진도와 가까운 국립광주박물관에 시아버지의 이름으로 기증할 것을 결심하였다. 재단을 통해 기증 의사를 전달받은 국립광주박물관은 작년 말 현지 조사를 거쳐 조선시대 회화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들이라는 사실을 재확인하였고, 올해 초 기증 서화 4건이 마침내 고향의 품으로 돌아오게 되었다.

미국 현지시간 328, 주미대한제국공사관(워싱턴DC 소재, 국외소재문화재재단 미국사무소)에서 개최된 국립광주박물관 기증서 전달식에 참석한 게일 허 여사는 시아버지에게 물려받은 소중한 작품들이 가장 잘 향유될 수 있는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어 매우 기쁘다며 기증소감을 밝혔다.

국립광주박물관과 재단이 국외 문화재 환수로 인연을 맺은 것은 지난 2017<분청사기상감경태5년명이선제묘지>(보물) 이후 두 번째로, 국립박물관과 재단이 긴밀히 협력하여 큰 성과를 거둔 모범적인 사례라는 점에서도 깊은 의미가 있다. 이번 기증으로 재단의 해외사무소(일본·미국)를 통한 환수 성과는 총 19305점에 이른다. 재단은 앞으로도 해외사무소가 현지에서 국외소재문화재의 환수 거점으로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할 것이다.

붙 임 1. 기증작품 사진
        2. 기증서 전달식 사진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국립광주박물관]조선 후기 미공개 회화, 미국에서 귀향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