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2022-02-14
- 조회수633
- 담당부서 학예연구실
국립대구박물관 일제강점기 자료공개사업 8년 만에
“대구 달성유적”보고서 완간(총6권)
국립대구박물관(관장 함순섭)은 일제강점기 때 조사한 대구 달성유적에 대해 한국고고학의 관점에서 정리한 6권의 보고서를 간행하였다. 이 보고서는 2013년부터 일제강점기 자료공개사업으로 시작했으며, 8년 만에 완결했다. 보고서에는 달성토성 및 달성고분 8기(34호, 37호, 50호, 51호, 55호, 59호, 62호, 65호)와 수습유물 1,728점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담았다.
일제강점기 자료공개사업은 부실했던 조사성과를 재정리하는 목적도 있지만, 일제의 식민지 지배정책의 본질을 이해하고 학문적 분야에서의 탈식민지화를 실천하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국립대구박물관이 발간한 달성유적 보고서는 그동안 한국 고고학이 축적한 연구성과를 우리말로 풀어내서 대구지역의 고대 역사를 재정립하는 작업이다.
대구 달성유적은 고대 대구지역 정치체의 성격과 동향을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일제강점기 때 조사는 상세한 도면과 사진 자료를 생략하여 보고하는 등 허술함이 있었다. 조사가 있었던 뒤에는 안타깝게도 관리가 소홀하여 수차례 도굴되는 수난을 겪었고, 해방 후에는 급격한 도시화를 맞으면서 지표상에서 모두 사라지고 말았다.
지금 시점에서 대구 달성유적이 갖는 한계점을 극복하는 길은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자료를 정리해서 다시 공개하고, 한국고고학의 관점에서 자료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렇게 하여 국립대구박물관은 일제강점기 관학자들이 남긴 자료를 정리한 뒤 학계와 공동으로 학술대회를 개최하는 등 대구지역의 고대역사에 대해 한층 더 심층적인 연구 성과를 내놓게 되었다.
이번 성과로 삼국시대 대구지역의 지배집단은 신라 중앙정부의 지원을 받아 달성고분을 축조했음을 구체적으로 논할 수 있게 되었다. 달성고분은 봉분의 분포를 기준으로 하면 모두 7개 내외의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중심집단은 큰 판석으로 석곽을 만든 37호와 55호를 포함한 그룹이었다. 이 지배집단은 신라의 지방조직이었음을 나타내는 신라식 위세품(금동관, 은제 허리띠, 장식대도 등)을 집중적으로 부장하였다.
일제감점기 때는 고대사회 매장풍습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무덤에 대한 해석상의 오류가 있었던 부분을 바로잡기도 하였다. 일본 관학자는 달성고분의 석곽 안에 스며든 빗물과 토사가 부장품과 유골의 제 위치를 흩트렸다고 했지만, 이는 신라의 순장 풍습에 대한 이해가 없었는 데서 기인한 것이었다. 가령, 37호 1곽 주인공의 머리와 동떨어진 곳에서 발견한 치아와 금동환, 50호 부곽의 중앙부에 있는 도자 등은 모두 4∼5세기대 신라의 지배층이 널리 채택한 순장의 흔적이었다.
이 밖에도 국립대구박물관은 달성고분 축조 당시 대구지역이 기본적으로는 신라와 관계를 유지하였지만, 주변 지역과의 교류를 통해 여러 부장품(장신구와 마구 등)을 독자적으로 만들 수 있는 기술적 환경 아래에 있었음을 제시하는 등 앞으로 이 분야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달성유적에 대한 일제강점기 자료공개사업의 결과물은 출판물로 학계와 공유하고 있으며, 온라인으로 누구든지 찾아볼 수 있게 하고 있다. 여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국립중앙박물관(학술·출판/일제 강점기 조사 자료)과 국립대구박물관 누리집(정보마당/일반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