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2021-12-21
- 조회수548
- 담당부서 학예연구실
2021년 특별전 < 백제인, 돌을 다스리다. 治石 > 개최
돌을 예술로 승화시킨 백제인의 석조 테크놀로지 조명
국립부여박물관(관장 윤형원)과 사비고고학연구회(회장 정훈진)는 공동으로 2021년 12월 21일(화)부터 2022년 5월 8일(일)까지 특별전 <백제인, 돌을 다스리다>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사비 백제 브랜드 활성을 위해 마련한 특별전으로‘백제인들이 돌을 어떻게 다루었나’를 주제로 석조 테크놀로지를 조명한다.
전시 구성은 1. (돌을) 조각하다, 2. (돌을) 조립하다, 3. (돌을) 다스리다’라는 3가지 주제로 이루어져 있다.
1부(백제인, 돌을 조각하다)에서는 백제권의 풍부한 돌 산지 정보와 돌을 가공한 도구를 소개한다. 그리고 백제의 생활에서 사용한 다양한 돌 조각품을 다룬다. 여기에는 투박하지만 단순함이 특징인 절구를 비롯해 용기와 추 등 도량형으로 표현된 척도에 이르기까지 백제인의 손에서 탄생한 여러 가지 생활용품을 보여준다.
2부(백제인, 돌을 조립하다)에서는 마치 조립 블록과 같이 돌에 난 홈과 턱으로 구성된 건축 자재를 비롯하여 돌과 돌을 결구(結構)하는 데 쓰인 장치들을 소개한다. 그리고 세계유산인 부여 나성(羅城)을 비롯한 백제의 주요 유적이 작은 돌 하나하나가 모여 만들어졌음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특히 이 코너에서는 도수관(導水管, 물을 끌어오는 장치)을 비롯하여 부여 나성에서 출토된 명문(銘文) 성돌들이 전시에서 처음으로 공개된다.
3부(백제인, 돌을 다스리다)에서는 돌로 만들어진 불상(佛像)과 탑(塔) 두 가지 주제를 다룬다. 먼저 불상(佛像) 코너에서는 완전한 모습을 보여주는‘부여 군수리석조여래좌상(寶物)’이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되다가 오랜만에 고향으로 돌아와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선보인다. 또한, 하나의 큰 바위의 4면에 불상을 새긴‘예산 화전리 석조사면불상’은 현재 예산군 화전리에 남아 있는 불상과 국립공주박물관에서 발굴하여 깨어진 상태로 보관 중이던 불두(佛頭) 편 등을 접합해 현대 기술인 3D 스캔과 프린팅 작업으로 원형을 재현해 보았다.
탑(塔)을 주제로 하는 공간에서는 국립부여박물관 야외 정원에서 전시하던 부여 구아리 출토 심초석을 특별전에서 보여주며, 심초석과 결합되는 석재 뚜껑을 비롯해 탑 조성에서 보이는 사리장엄구의 형태와 위치 변화를 다루었다.
특히, 목탑(木塔)에서 석탑(石塔)으로 변화되는 기술발전 과정이 백제(百濟)에서 시작되었음을 영상으로 소개한다. 백제(百濟)의 탑 조영 테크놀로지가 신라(新羅)와 일본(倭)은 물론 고려시대(高麗時代)의 석탑 조영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흔한 돌을 보석과 같이 다룬 백제인들의 시각과 뛰어난
석조 테크놀로지를 눈앞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