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의 유리제 사리병, 최고급 유리인‘석영유리’로 밝혀져
  • 등록일2021-05-26
  • 조회수952
  • 담당부서 보존과학부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의 유리제 사리병 최고급 유리인석영유리로 밝혀져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민병찬) 지난 56일부터 521일까지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보물 제1925)’ 유리제 사리병 보존처리하였다.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는 이성계(李成桂)와 그의 두 번째 부인 강씨(康氏) 등이 조선을 건국하기 직전인 13901391년에 발원한 사리장엄구로서 1932년 강원도 금강산 월출봉 석함(石函) 속에서 발견된 것이다.

이 석함 안에서 사리의 외기(外器)인 백자대발(白磁大鉢) 4개와 은제도금라마탑형사리기(銀製鍍金喇嘛塔形舍利器) 그리고 이 사리기를 안치한 은제도금팔각당형사리기(銀製鍍金八角堂形舍利器)와 청동발(靑銅鉢)등이 발견되었다. 이 중 유리제 사리병은 가장 안쪽에 모신 은제금도금라마탑형사리기 안치되었던 것이다.

유리제 사리병(높이 9.3cm, 지름1.2cm, 무게 31g)은 은제금도금판에 원통형의 유리를 끼우고 위에는 은제금도금 마개로 막았으며 내부에는 은제도금 사리받침대가 들어있는 형태이다.

이번 보존처리는 유리제 사리병의 일부 파손된 부분을 접합하고. 결손된 부분은 복원하여 원형을 회복할 수 있었다. 보존처리 과정에서 분석한 사리병의 주성분은 이산화규소(SiO2)98%이상이고 비중은 2.57로 석영유리에 가깝게 나타났다.

일반적인 유리는 주제로 규소가 주로 사용되고 녹는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용융제로는 나트륨, 칼륨, 그리고 안정제로는 산화칼슘 등이 사용되기 때문에 1,000미만에서 제작된다.

*주제: 유리의 주원료

*용융제: 유리의 녹는 온도를 낮추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

*안정제: 유리의 조성과 구조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물질

반면에 순수한 석영유리는 열에 아주 강하여 1,500이상 가열하지 않으면 녹일 수 없고 강도가 일반 유리의 2배 정도이기 때문에 일반 유리의 제작과정에 비해 그 만큼 많은 노력과 기술이 필요하다.

유리제 사리병을 순도가 높은 석영유리로 제작하고 내부에는 은제금도금 사리받침대를 세웠으며 이것을 다시 은제도금라마형사리기와 은제도금팔각당형사리기에 이중으로 봉안하였다는 것은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가 당시 고급 재료와 기술로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에서 발견된 유리제 사리병석영유리로 제작된 완형의 사리병으로 14세기 우리나라 유리 제작기술을 보여주는 국내 첫 사례이다.

이번에 보존처리한 유리제 사리병 등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들은 국립춘천박물관(관장 김울림) 특별전 오색영롱-유리, 빛깔을 벗고 투명을 입다에서 525()부터 815()까지 일반인에게 공개한다.

붙임. 이성계사리기 유리병 보존처리 사진. zip
      보도자료-이성계 유리제 사리병. hwp.  끝.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학예연구사 신용비 (02-2077-9448)에게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요 2021-23_이성계 유리제 사리_최종.hwp(15.4MB) 내려받기 파일보기
  • 23. 이성계사리기 유리병 보존처리 사진_최종.zip(14.8MB) 내려받기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국립중앙박물관] 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의 유리제 사리병, 최고급 유리인‘석영유리’로 밝혀져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