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 보존처리를 마치고 재전시
  • 등록일2017-06-12
  • 조회수1808
  • 담당부서 미술부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 보존처리를 마치고 재전시
- 국립중앙박물관 불교조각실에 6월 14일부터 공개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이영훈)은 2017년 6월 14일부터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을 상설전시관에서 다시 선보인다. 이 반가사유상은 최근 표면의 부식을 막고 균열 부위를 보강하는 보존처리를 마쳤다.

  국보 제78호 반가사유상은 최근 두 차례의 특별전 “고대불교조각대전”(2015)과“한일 국보 반가사유상의 만남”(2016)에 출품되었고 상설전시 되는 것은 1년 9개월 만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의 불교조각실(301호)에는 국보로 지정된 반가사유상을 전시하는 공간이 따로 마련되어 있어 여기서 국보 제78호 반가사유상과 국보 제83호 반가사유상을 번갈아 전시하고 있다.

  삼국시대 6세기 후반에 제작된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은 ‘반가(半跏)’와 ‘사유(思惟)’라는 복잡한 두 가지 자세를 자연스럽게 구현한 작품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다. 상의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식(中空式)으로 주조되었으며, 금동불로서는 크기가 큰 편임에도 불구하고 2~4mm의 일정한 두께로 주조했다는 점은 이 시대의 첨단 기술이라 할 만하다. 머리에 쓰고 있는 화려하고 높은 관은 국보 제83호 반가사유상과 구별되는 특징으로, 솟음장식이 해와 초승달 모양이 결합된 것으로 보고 이를 일월식보관(日月飾寶冠)이라 칭하기도 한다.

  전시 휴지기 동안 제78호 반가사유상의 취약한 부분을 개선하고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몇 가지 보존처리를 거쳤다. 보관과 몸체 등 재부식의 가능성이 높은 부분의 표면 녹을 일부 제거하고 부식의 진행을 억제시키는 안정화 처리를 하였다. 이 과정에서 표면을 덮고 있던 이물질이 제거되어 불상의 새김문양을 전보다 분명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우측 어깨 부근 옷자락 일부와 보관 솟음장식 등에 있었던 균열부를 보강하여 보다 안전한 전시와 보관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번 전시가 국보급 반가사유상의 미감을 가감 없이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 보존처리를 마치고 재전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