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구박물관] 「고고학자의 발굴이야기」 특별강의 세 번째 이야기 - 원삼국시대의 마을과 집터 -
- 등록일2017-03-08
- 조회수1719
- 담당부서 학예연구실
2017년 특별전 「고대 마을, 시지」 연계 「고고학자의 발굴이야기」 세 번째 이야기 진행 |
- 원삼국시대의 마을과 집터 - |
국립대구박물관(관장 권상열)은 2017년 2월 4일(토)부터 5월 6일(토)까지 매주 토요일 오후 3시부터 90분 동안 특별전 『고대 마을, 시지』연계 전시해설인「고고학자의 발굴이야기」를 진행합니다.
「고고학자의 발굴이야기」의 세 번째 이야기는 2월 18일(토) 오후 3시부터‘원삼국시대의 마을과 집터’라는 주제로 우병철 영남문화재연구원 조사연구팀장이 전시해설을 진행합니다.
대구 매호동유적은 원삼국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집자리가 발굴되었습니다. 경산 임당동유적과 더불어 원삼국시대와 삼국시대 초기의 주거 문화를 규명하는데 중요한 자료입니다. 우리나라 온돌문화의 기원을 알아보고, 발굴조사 과정의 흥미롭고 새로운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고고학자가 수강생과 함께 해당유적의 전시 설명을 문답식으로 진행합니다.
장소는 국립대구박물관 시청각실입니다. 별도 예약 없이 매회 30명, 선착순 접수입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국립대구박물관 누리집(http://daegu.museum.go.kr)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고고학자의 발굴이야기」는 우리 문화재에 대한 이해와 발굴조사 과정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므로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고고학자의 발굴이야기 전시해설 모습 |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국립대구박물관] 「고고학자의 발굴이야기」 특별강의 세 번째 이야기 - 원삼국시대의 마을과 집터 -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