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른명칭
							보물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 탑비(1962), 奉化 太子寺 朗空大師塔碑, 太子寺朗空大師碑 
- 전시명칭
									태자사 낭공대사 비석 
- 국적/시대
								한국 
- 출토지
								경상북도 - 영주시 
- 재질
								돌 
- 분류
								사회생활 - 기념 - 비 
- 크기
								너비 102.7cm, 두께 25.7cm, 높이 218.0cm 
- 지정문화유산
								보물 
- 소장품번호
								본관6754 
- 전시위치
								서화 
태자사 낭공대사 비석은 '태자사 낭공대사 백월서운탑비(太子寺 朗空大師 白月栖雲塔碑)'로, 낭공대사(朗空大師, 832~916)의 탑비이다. 이 비석은 우리나라 서예 신품사현(神品四賢) 김생(金生, 711~791?)의 글씨를 모아 정리하여 만든 집자(集字) 비석으로 김생의 글씨가 거의 남아있지 않기 때문에 한국 서예사에서 더욱 큰 의미를 지닌다. 김생은 '해동(海東)의 서성(書聖)', '신라의 왕희지(王羲之)'로 추앙받는 명필로, 그의 글씨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중국에서도 연구된 바 있다. 비석에 새겨진 글씨는 작지만 김생의 힘찬 필치를 잘 보여준다. 집자된 김생 필적을 통해 통일신라 서예의 양상을 살펴 볼 수 있다. 비석 앞면에는 낭공대사의 일생과 업적이 새겨져 있는데, 낭공대사는 916년 2월에 열반하였다.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의 문신이자 명필의 한사람인 최인연(崔仁渷)이 왕명을 받아 글을 짓고, 낭공대사의 문하인 단목(端目)이 김생의 글을 집자하였다.
 
									유의사항
- 지정문화유산의 실물 복제품을 제작하고자 하는 경우는 별도의 허가 신청이 필요합니다.
 
						 
						 
						 
						 
						 
						


 X
 X  페이스북
 페이스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