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1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2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3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4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5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6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7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8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9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10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11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12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13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14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15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16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17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18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19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20 보기
김홍도의 풍속화첩 이미지 21 보기
중요
김홍도의 풍속화첩
- 다른명칭
風俗畵帖
- 국적/시대
한국 - 조선
- 재질
종이
- 작가
전 김홍도(傳 金弘道, 1745-1816 이후)
- 분류
문화예술 - 서화 - 회화 - 일반회화
- 크기
세로 56.4cm, 가로 36.5cm
- 소장품번호
본관 8404
이 화첩은 모두 여덟 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서민의 생업을 다루고 있다. 겉 표지에는 ″신화무적(神化無跡)″이라 적혀 있으며, 김홍도(金弘道, 1745-1816 이후)의 것으로 되어 있으나 화풍상 그의 그림으로 보기 힘들다. 첫 번째 면은 빨래터의 광경으로, 다리를 드러낸 여인네의 앞을 지나가는 맹인의 모습을 그렸다. 이 노인은 맹인임을 가장하여 여인네의 다리를 훔쳐보는 듯하여 웃음을 자아낸다. 이 외에도 부싯돌을 사용하여 담뱃불을 붙이는 장면, 물동이 나르기, 말징박기, 소 탄 여인네, 휴식, 망건짜기 등을 묘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 사대부 화가들에서부터 시작되어 김홍도 등 풍속화가들에 이르러 더욱 즐겨 그려진 서민 풍속의 소재가 후대에도 지속적으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그림의 필치는 섬세하거나 정교하지는 않지만 인물들의 표정이 해학적으로 그려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김홍도의 풍속화첩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