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 국립중앙박물관

난초와 대나무
  • 다른명칭

    蘭竹圖, 난죽도, 孔毓圻筆竹蘭圖, 공육기 필 죽란도

  • 국적/시대

    중국 - 청

  • 재질

    섬유 - 견

  • 작가

    공육기(孔毓圻)

  • 분류

    문화예술 - 서화 - 회화 - 일반회화

  • 크기

    세로 184.4cm, 가로 63.9cm, 축 길이 71.6cm

  • 소장품번호

    동원 2740

화면 우측 상단에 ‘췌리 공육기(闕里 孔毓圻)’라고 적혀 있어서 산둥성(山東省) 취푸(曲阜)출신으로 공자(孔子)의 67세손으로 연성공(衍聖公)의 작위를 세습한 공육기(字 鍾在, 號 蘭堂)가 그린 그림임을 알 수 있다. 췌리는 산동성 취푸의 공자의 고향이자 공육기의 고향이다.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은데 서화에 뛰어났다고 한다. 특히 묵란(墨蘭)에 조예가 깊어 필치가 굳세고 뛰어나며 조맹부(趙孟頫, 1254~1322)의 필의(筆意)를 얻었다고 하였다. 화면에는 왼쪽으로 네모진 두 개의 바위 사이에 난초가 자라 있으며 꽃이 활짝 핀 꽃대도 세 줄기 솟아 있다. 오른쪽으로는 지면에 가깝게 나있는 댓잎이 몇 개 보인다. 그리고 엷은 먹으로 선염(渲染)하여 땅을 표현하고 태점(苔點)을 잡풀도 묘사하여 현실감이 느껴진다. 공육기의 작품은 알려진 바가 거의 없는데 이 그림으로 보면 화사(畫史)의 기록처럼 묵란에 뛰어났음을 알 수 있다. 난초 잎을 유려한 필치로 길게 빼는 표현 양식은 대개 명대 이전의 묵란에 많이 보이는 것으로 공육기가 난초 그림의 전통적인 표현 양식에 숙달되었음을 보여준다.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난초와 대나무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