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자도첩 이미지 1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2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3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4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5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6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7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8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9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10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11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12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13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14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15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16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17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18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19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20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21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22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23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24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25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26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27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28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29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30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31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32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33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34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35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36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37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38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39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40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41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42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43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44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45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46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47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48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49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50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51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52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53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54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55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56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57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58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59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60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61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62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63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64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65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66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67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68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69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70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71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72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73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74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75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76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77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78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79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80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81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82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83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84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85 보기
효자도첩 이미지 86 보기
중요
효자도첩
- 다른명칭
孝子圖帖, 元孤雲處士王朋梅孝子圖帖, 원 고운처사 왕붕매 효자도첩
- 국적/시대
중국 - 청
- 재질
섬유 - 견
- 작가
왕진붕(王振鵬)
- 분류
문화예술 - 서화 - 회화 - 일반회화
- 크기
세로 37.2cm, 가로 24cm, 두께 4.4cm
- 소장품번호
동원 2219
″원고운처사왕붕매효자도삼산진공보제첨(元孤雲處士王朋梅孝子圖三山陳恭甫題籤: 원나라의 고운처사 왕붕매가 그린 효자도에 진공이 제목을 쓰다)″라는 표제(表題)가 있는 화첩으로 우순(虞舜), 자로(子路), 한문제(漢文帝), 정란(丁蘭), 맹종(孟宗), 증삼(曾參), 곽거(郭巨) 등 중국의 유명한 효자 24명의 효행을 그림과 글로 표현한 것이다. 효자도는 고대부터 타인들에게 거울로 삼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그려져 왔다. 왕진붕은 영가(永嘉: 지금의 저장 성 온주) 출신의 원대(元代) 궁정화가로 자(字)가 붕매(朋梅)이며 인종(仁宗)의 상찬을 받아 ′고운처사(孤雲處士)′라는 호(號)를 얻었으며, 계화(界?)와 인물화를 잘 그렸다. 이 그림은 비교적 섬세한 필법에 채색을 한 작품이지만 현재 전하는 왕진붕의 인물화와 비교해보면 화풍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림에 보이는 일부 인물의 복식이나 기물 등의 표현은 청대(淸代)에 그려졌음을 추정케 한다.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효자도첩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