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계절 산수 이미지 1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2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3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4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5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6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7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8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9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10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11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12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13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14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15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16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17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18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19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20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21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22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23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24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25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26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27 보기
사계절 산수 이미지 28 보기
중요
사계절 산수
- 다른명칭
四時八景圖, 안견 사시팔경도
- 국적/시대
한국 - 조선
- 재질
섬유 - 견
- 작가
전 안견(傳 安堅)
- 분류
문화예술 - 서화 - 회화 - 일반회화
- 크기
세로 35.8cm, 가로 28.5cm
- 소장품번호
덕수 3144
안견(安堅, 1410년경-1464 이후)은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적극적 후원을 받았다. 곽희(郭熙) 화풍을 토대로 여러 화풍을 종합, 절충하여 독자적 경지에 올랐으며, 16세기에는 ′안견파′가 탄생하는 등 화단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현재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만이 확실하게 확인된 그의 유일한 작품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작품은 안견이 그렸다고 전해지는 작품 중 화풍상 가장 연대가 올라가는 작품이다. 모두 여덟 폭으로 이루어졌으며, 각 폭에 각각 이른 봄과 늦봄, 초여름과 늦여름, 초가을과 늦가을, 초겨울, 늦겨울을 표현하였다. 즉 사계의 변화를 차이가 큰 필법과 묵법으로 예리하게 묘사하였다. <사시팔경도(四時八景圖)>는 조선 초기 안견파 화풍의 한 전형을 나타낸다. 한쪽 끝 부분에 치우친 편파 구도, 풍경과 물체가 따로따로 떨어져 있으면서도 조화된 통일을 이루는 구성, 풍경과 물체 사이에서 펼쳐지는 수면과 안개 등에 의해 확산되는 공간 등 두드러진 특징들이 보이는데, 이러한 특징들은 안견파 산수화들에 한결같이 나타난다.
국립중앙박물관이(가) 창작한 사계절 산수 저작물은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